현대경제연구원이 ‘현안과 과제’를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1. 전환기를 맞고 있는 세계 교역
최근 들어 세계 교역 규모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는 등 세계 교역 흐름이 전환기에 진입
- 세계 교역 규모 증가세 둔화
·세계 교역 규모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약 32.8조 달러에서 2009년 약 25.4조 달러로 크게 축소된 이후 2011년에 36.8조 달러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상회할 정도로 빠르게 회복
·하지만, 이후 2012년부터 세계 교역 규모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어, 2014년에는 약 38.1조 달러로 2011년 이후 3년 간 약 1.3조 달러 증가에 그침
- 시기별로도 세계 교역 규모 증가세가 크게 둔화
·세계 전체 교역 증가세는 1970년대 약 20.1%에서 1980년대 약 4.9%로 급격히 둔화된 후 2000년대 약 7.5% 수준까지 회복
하지만 이후 2014년까지는 약 5.4% 증가에 그쳤으며, 2014년에는 0%대 초반 수준에 불과했음
- 본고에서는 세계 상품 교역을 중심으로 국별, 지역별, 국가 간, 지역 간 등의 교역 구조를 살펴봄으로써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2. 국별·지역별 교역 구조의 변화
① 주요 분석 내용
- 분석 기간
·1962~2014년까지의 53년간을 분석 기간으로 함
·단, 분석 내용을 간단하고 명료하게 전달하기 위해 7개 기간(1962년, 1970년, 1980년, 1990년, 2000년, 2010년, 2014년)으로 구분하여 분석함
- 데이터 출처
·UN Comtrade 데이터를 활용
- 분석 내용
·세계 교역 상위 10개국의 변화 및 이들의 對 세계 교역 확대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
·또, 세계 교역 상위 10개국 간 교역 및 對 지역 간 교역 추이 분석을 통해 교역 구조의 변화를 살펴 봄
·한편, 주요 지역 간 교역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세계 교역 상위 10개국 간 교역 현황 변화를 보완 설명하고자 함
<분석 기간, 데이터 및 주요 분석 내용>
분석 기간
·1962~2014년
데이터 출처
·UN Comtrade
주요 분석 내용
·세계 교역 상위 10개국 변화
·세계 교역 상위 10개국의 對 세계 교역 확대 기여도
·세계 교역 상위 10개국 간 교역 및 對 지역 간 교역 추이
·주요 지역 간 교역 추이
주 : 지역 간 교역 분석은 2014년 기준 100대 교역국(전체 교역의 99.5% 차지)이 대상임.
② 분석 결과
가. 세계 10대 교역국의 위상 변화
1962년 이후 지금까지 세계 교역 10대국들의 대 세계 교역 증가세가 둔화됨과 동시에 이들의 對 세계 교역 비중도 축소
- 세계 교역 10대국들의 교역 증가세 둔화
·세계 교역 상위국들의 총 교역 규모는 1962년 약 0.2조 달러에서 2014년 약 19.1조 달러로 지난 50여 년간 약 96배 증가
·하지만, 이들 국가들의 총 교역 규모 증가세는 1970년 대비 1980년 연평균 약 19.4% 증가를 정점으로 하락, 2011~2014년까지는 약 5.0 수준에 불과
- 세계 교역 10대국들의 對 세계 교역 비중 축소
·세계 교역 10대국가들의 총 수출 규모의 對 세계 비중은 1962년 75.8%에서 2014년 55.0%로, 동 수입 비중은 같은 기간 71.3%에서 56.3%로 크게 하락
·이 결과 세계 교역 10대국들의 對 세계 교역 비중도 동기간 약 73.5%에서 약 55.6%로 약 17.9%p 하락
1. 전환기를 맞고 있는 세계 교역
최근 들어 세계 교역 규모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는 등 세계 교역 흐름이 전환기에 진입
- 세계 교역 규모 증가세 둔화
·세계 교역 규모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약 32.8조 달러에서 2009년 약 25.4조 달러로 크게 축소된 이후 2011년에 36.8조 달러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상회할 정도로 빠르게 회복
·하지만, 이후 2012년부터 세계 교역 규모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어, 2014년에는 약 38.1조 달러로 2011년 이후 3년 간 약 1.3조 달러 증가에 그침
- 시기별로도 세계 교역 규모 증가세가 크게 둔화
·세계 전체 교역 증가세는 1970년대 약 20.1%에서 1980년대 약 4.9%로 급격히 둔화된 후 2000년대 약 7.5% 수준까지 회복
하지만 이후 2014년까지는 약 5.4% 증가에 그쳤으며, 2014년에는 0%대 초반 수준에 불과했음
- 본고에서는 세계 상품 교역을 중심으로 국별, 지역별, 국가 간, 지역 간 등의 교역 구조를 살펴봄으로써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2. 국별·지역별 교역 구조의 변화
① 주요 분석 내용
- 분석 기간
·1962~2014년까지의 53년간을 분석 기간으로 함
·단, 분석 내용을 간단하고 명료하게 전달하기 위해 7개 기간(1962년, 1970년, 1980년, 1990년, 2000년, 2010년, 2014년)으로 구분하여 분석함
- 데이터 출처
·UN Comtrade 데이터를 활용
- 분석 내용
·세계 교역 상위 10개국의 변화 및 이들의 對 세계 교역 확대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
·또, 세계 교역 상위 10개국 간 교역 및 對 지역 간 교역 추이 분석을 통해 교역 구조의 변화를 살펴 봄
·한편, 주요 지역 간 교역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세계 교역 상위 10개국 간 교역 현황 변화를 보완 설명하고자 함
<분석 기간, 데이터 및 주요 분석 내용>
분석 기간
·1962~2014년
데이터 출처
·UN Comtrade
주요 분석 내용
·세계 교역 상위 10개국 변화
·세계 교역 상위 10개국의 對 세계 교역 확대 기여도
·세계 교역 상위 10개국 간 교역 및 對 지역 간 교역 추이
·주요 지역 간 교역 추이
주 : 지역 간 교역 분석은 2014년 기준 100대 교역국(전체 교역의 99.5% 차지)이 대상임.
② 분석 결과
가. 세계 10대 교역국의 위상 변화
1962년 이후 지금까지 세계 교역 10대국들의 대 세계 교역 증가세가 둔화됨과 동시에 이들의 對 세계 교역 비중도 축소
- 세계 교역 10대국들의 교역 증가세 둔화
·세계 교역 상위국들의 총 교역 규모는 1962년 약 0.2조 달러에서 2014년 약 19.1조 달러로 지난 50여 년간 약 96배 증가
·하지만, 이들 국가들의 총 교역 규모 증가세는 1970년 대비 1980년 연평균 약 19.4% 증가를 정점으로 하락, 2011~2014년까지는 약 5.0 수준에 불과
- 세계 교역 10대국들의 對 세계 교역 비중 축소
·세계 교역 10대국가들의 총 수출 규모의 對 세계 비중은 1962년 75.8%에서 2014년 55.0%로, 동 수입 비중은 같은 기간 71.3%에서 56.3%로 크게 하락
·이 결과 세계 교역 10대국들의 對 세계 교역 비중도 동기간 약 73.5%에서 약 55.6%로 약 17.9%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