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윤성규)는 우리나라 상수도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2014년 상수도 통계(이하 상수도 통계)’를 발간했다.
상수도 통계는 전국 162개 수도사업자가 담당하고 있는 상수도 서비스 현황(급수인구, 급수량), 시설 현황(취수장, 정수장, 수도관망), 상수도 요금, 운영 실태(재정현황, 직원 수) 등을 담고 있다.
이번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전국 상수도 보급률은 전년 대비 0.1%p 상승한 98.6%로 나타났다. 호주 99.7%, 독일 99.3%, 일본 97.5%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와 비슷한 수준이다.
* 주요국가 상수도 보급률 : 호주 99.7%, 독일 99.3%, 일본 97.5%, 덴마크 97.2% [2010, 세계물협회(IWA)]
상수도 보급률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부산 등 7개 특·광역시(99.9%), 기타 시 지역(99.3%)은 전년과 유사하다. 농어촌 지역은 전년 대비 1.4%p 증가한 91.2%로 나타났다.
1인당 하루 수돗물 사용량은 2014년 말 기준 280ℓ로 전년에 비해 2ℓ 감소했다. 독일(150ℓ)과 덴마크(188ℓ)보다는 많고, 일본(311ℓ)과 미국(378ℓ)에 비해서는 적었다.
* 주요국가 물사용량(ℓ/일) : 독일 150ℓ, 덴마크 188ℓ, 호주 224ℓ, 일본 311ℓ, 미국 378ℓ [2010, 세계물협회(IWA)]
관로 노후 등으로 공급 과정에서 손실되는 수돗물의 양(누수량)은 약 6억 9,127만톤(총생산량의 11.1%)으로 전년 대비 3,527만톤(0.4%p)이 증가했다.
누수량이 증가한 이유는 수도관이 노후화되는 속도를 교체나 개량 작업이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손실된 수돗물 6억 9,127만톤을 전국 평균 생산원가(876.4원/톤)로 환산하면 연간 6,059억원에 이른다.
한편 수도요금 현실화율(생산원가 대비 수도요금)은 전년 대비 1.7%p 감소한 76.1%로 나타났다.
이는 수돗물 생산원가 상승분(3.2%)이 수도요금(1.0% 상승)에 반영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상수도 사업의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수도요금의 정상화가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황석태 환경부 수도정책과장은 “올해 시범사업을 거쳐 내년부터 노후 상수도시설 개량 사업에 국고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면서, “노후 관로 개량을 통해 수돗물의 누수를 막고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고 지원과 함께 수도요금의 정상화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이 반드시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4년 상수도 통계’ 전문은 환경부 누리집을 통해 내려받을 수 있다.
상수도 통계는 전국 162개 수도사업자가 담당하고 있는 상수도 서비스 현황(급수인구, 급수량), 시설 현황(취수장, 정수장, 수도관망), 상수도 요금, 운영 실태(재정현황, 직원 수) 등을 담고 있다.
이번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전국 상수도 보급률은 전년 대비 0.1%p 상승한 98.6%로 나타났다. 호주 99.7%, 독일 99.3%, 일본 97.5%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와 비슷한 수준이다.
* 주요국가 상수도 보급률 : 호주 99.7%, 독일 99.3%, 일본 97.5%, 덴마크 97.2% [2010, 세계물협회(IWA)]
상수도 보급률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부산 등 7개 특·광역시(99.9%), 기타 시 지역(99.3%)은 전년과 유사하다. 농어촌 지역은 전년 대비 1.4%p 증가한 91.2%로 나타났다.
1인당 하루 수돗물 사용량은 2014년 말 기준 280ℓ로 전년에 비해 2ℓ 감소했다. 독일(150ℓ)과 덴마크(188ℓ)보다는 많고, 일본(311ℓ)과 미국(378ℓ)에 비해서는 적었다.
* 주요국가 물사용량(ℓ/일) : 독일 150ℓ, 덴마크 188ℓ, 호주 224ℓ, 일본 311ℓ, 미국 378ℓ [2010, 세계물협회(IWA)]
관로 노후 등으로 공급 과정에서 손실되는 수돗물의 양(누수량)은 약 6억 9,127만톤(총생산량의 11.1%)으로 전년 대비 3,527만톤(0.4%p)이 증가했다.
누수량이 증가한 이유는 수도관이 노후화되는 속도를 교체나 개량 작업이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손실된 수돗물 6억 9,127만톤을 전국 평균 생산원가(876.4원/톤)로 환산하면 연간 6,059억원에 이른다.
한편 수도요금 현실화율(생산원가 대비 수도요금)은 전년 대비 1.7%p 감소한 76.1%로 나타났다.
이는 수돗물 생산원가 상승분(3.2%)이 수도요금(1.0% 상승)에 반영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상수도 사업의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수도요금의 정상화가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황석태 환경부 수도정책과장은 “올해 시범사업을 거쳐 내년부터 노후 상수도시설 개량 사업에 국고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면서, “노후 관로 개량을 통해 수돗물의 누수를 막고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고 지원과 함께 수도요금의 정상화 등 지자체의 자구노력이 반드시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4년 상수도 통계’ 전문은 환경부 누리집을 통해 내려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