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만5천 공공부문 비정규직 내년까지 정규직으로 전환

posted Feb 18,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부, 15천 공공부문 비정규직 내년까지 정규직으로 전환

 

정부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15천여명을 내년까지 정규직으로 전환한다. 공공기관은 정원의 5%, 지방공기업은 8%내에서 기간제 근로자 사용을 제한한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기관평가에서 불이익을 받게 된다. 정부는 17일 고용노동부, 기획재정부, 행정자치부, 교육부 등이 참여하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태스크포스(TF)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상시·지속 업무에 종사하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65896명의 정규직(무기계약직) 전환을 추진, 계획 대비 112%에 달하는 74천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shwd.jpg

 

특히 우체국금융개발원, 대구시시설관리공단, 군포시청, 한국체육산업개발 등 일부 기관은 정규직 전환 대상이 아닌 근로자도 추가 전환하는 등 적극적인 정규직 전환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평가받았다. 공공부문 기간제 근로자 규모는 2013924만명에서 지난해 말 201천명으로 줄어들었다. 이번 대책에서 정부는 2단계로 내년까지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15262명을 정규직으로 추가 전환키로 했다. 공공부문 총 469개 기관에서 올해 185(66%), 내년에 5177(34%)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다. 이 경우 현 정부 들어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는 총 9만여명에 달하게 된다.

 

정부는 상시·지속 업무의 정규직 고용 관행을 정착시키기 위해 '비정규직 사용비율 목표관리제'도 추진한다. 공공기관(공기업·준정부기관)은 정원의 5%, 지방공기업은 8% 내에서 상시·지속 업무를 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를 사용해야 한다. 다만, 한시적 업무나 업무성격상 비정규직 사용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이를 적용치 않을 수 있다. 정부는 각 기관이 정해진 목표비율을 지키는지 면밀히 모니터링해 이를 기관 평가에 반영할 방침이며 각 기관의 인사규정에 '상시·지속업무의 정규직 고용원칙'이 반영됐는지도 일제히 조사해 이를 반영토록 지도할 계획이다.


사회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