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수입액 최대 품목은 명태…올해 감소세

posted Oct 07,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러시아로부터 수입한 냉동명태가 속초항에 도착해 하역되고 있다. << 연합뉴스 DB >>
 

올해 일본산 수산물 수입은 5년 전보다 44% 감소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최근 5년간 수입된 수산물 가운데 매년 수입액이 가장 큰 품목은 냉동 명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이 6일 발표한 최근 5년간 주요 수산물 수입동향에 따르면 명태는 2009년부터 올해까지(1∼8월 기준) 매년 수입액 1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올해 명태 수입액은 약 1조2천억원(10만5천t)으로, 수입액과 중량이 작년 동기보다 각각 18.5%, 9.3% 하락했다.

 

수입 명태는 러시아산이 90% 이상이었고 미국과 일본산은 각각 2.1%, 0.3%를 차지했다.

 

특히 일본산 명태는 2009년만 해도 8.6%에 달했으나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태 영향으로 비중이 크게 줄었다.

 

전체 수산물 수입액 상위 10대 품목에는 명태 이외에 냉동연육, 새우살, 새우, 낙지, 실뱀장어, 갈치, 조기, 명란, 주꾸미 등이 포함됐으며 이들 품목의 비중은 전체 수산물 수입의 40%에 달했다.

 

주로 냉동 수산물이다. 지난해와 올해 활어류로는 유일하게 실뱀장어가 포함됐다.

 

수입액 상위 10대 품목 중 명태와 명란은 5년 전보다 수입가격이 27.1%, 27.4%씩 하락했고, 나머지 8개 품목은 상승했다.

 

최근 5년간 수산물 수입액은 연간 110만t, 4조원 안팎인 것으로 분석됐다.

 

수산물 수입은 2011년 이후에는 3년째 감소세다.

 

올해 1∼8월 수입량도 65만7천t으로, 재작년과 작년 동기보다 각각 9만5천t, 1만2천t씩 줄었다.

 

최근 5년간 수입액 기준으로 한국이 수산물을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는 중국, 러시아, 베트남으로 이들 나라는 부동의 1∼3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하지만, 4위였던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사태의 영향으로 올해 5위로 밀려났고 미국이 4위 자리를 차지했다.

 

올해 일본산 수산물 수입액은 1천억원 규모로, 5년 전보다 43.7% 감소했다.

이들 상위 5대 국가는 한국 전체 수산물 수입액의 70% 안팎을 차지하고 있다.

 

 

redflag@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10/06 12:0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