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광주, 봉하마을 갔지만,,,,

posted Feb 01,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종인, 광주, 봉하마을 갔지만,,,,

 

광주 5·18민주묘역 참배를 위해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광주를 찾은 지난달 31일 한국 야당의 기반인 호남, 그중에서도 성지라고 할 수 있는 광주 민심은 '1야당'을 자처하는 더민주의 '선장' 김 위원장에게 싸늘한 분노와 함께 매우 냉소적이었다. "()종인이만 가라 해라, 종인이만 가라 하란 말이다. 영령들이 나한테 말했어, 종인이만 가라고." 70대 여인은 김 위원장 앞에 주저앉아 이같이 울부짖었다.


kjgt.jpg


김 위원장에 대한 호남 민심이 싸늘한 것은 과거 김 위원장이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에 참여했던 전력 때문이다. 이날 김 위원장은 5·18민주묘역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의 탄생 배경이 된 윤상원·박기순 열사 묘 앞에서 직접 무릎까지 꿇었지만 광주 민심은 김 위원장 사과를 좀처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일부 시민은 " 국보위 활동에 참여한 것을 후회하지 않는다고 큰소리치는 '살인마 정권'의 앞잡이 김종인이 거짓과 가면의 탈을 쓰고 참배하러 왔다"며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김종인, "부가세 폐지 막으려 참여"?

 

참배를 마친 뒤 김 위원장은"(국보위에) 참여했던 것에 대해 광주의 상황을 와서 보니 사죄의 말씀을 드려야겠다는 마음이 저절로 생겨난다"는 말로 고개를 숙였다. 그러나 이것을 국민이 위선이라고 보는 것은 국보위 참여 논란에 대해 김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광주에서 '국보위에 스스로 참여한 게 아니라 차출되다시피 들어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김 위원장이 적극적으로 국보위에 참여했다는 김용갑 새누리당 상임고문의 주장이 제기되면서 진실 여부를 놓고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김용갑 새누리당 상임고문은 지난달 31"김 위원장이 국보위 등과 관련해서 주장하는 것 중 호도된 부분이 있다""김 위원장은 국보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인물이고 당시에는 국보위 참여를 사양한 사람이 특별히 없던 걸로 알고 있다. 경제부총리를 지낸 조순 당시 서울대 교수는 나중에 사양한 것으로 들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내가 야당 비대위원장으로 온 데 대한 불만 때문이 아닌가 싶다""조세저항 때문에 국보위에서 부가세 폐지 움직임이 일고 있다는 말을 들은 후 부가세 폐지는 안 된다는 신념에서 국보위에 참여했다"고 반박했다.

 

참배 일정을 마친 뒤 김 위원장은 광주시당으로 자리를 옮겨 비대위 회의를 주재했다. 이 자리에서 김 위원장은 "(더민주에) 희망이 보이지 않으니 새로운 것을 보면 뭔가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막연한 생각에 당이 분열됐다""4·13 총선을 승리로 이끌고, 이를 바탕으로 집권해야 광주의 답답한 마음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광주민심과 국민들은 그의 말을 믿지않고 참을 수 없는 모독과 위선으로 보고 있다.

 

광주 일정을 마친 김 위원장은 경남 김해 봉하마을로 이동해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고 권양숙 여사를 예방했다. 김 위원장은 광주와는 달리 봉하마을에서는 '김종인의 힘 당신의 능력을 믿습니다'는 내용의 피켓을 든 어느 정신나간 노빠시민이 도열하는 환대를 받았다. 권 여사는 김 위원장과 만난 자리에서 "참으로 엄중한 시기다. 당을 살리는 데 최선을 다해주기를 바란다""부산·경남 지역에 각별히 관심을 가져달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국회 밖에서 '국보위 망령'에 시달린다면, 국회 안에서는 '여야 합의 파괴의 주범'이라는 비난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여야 원내대표는 지난달 23'기업활력제고특별법(원샷법)29일 본회의에서 통과시킨다'는 내용의 합의문에 서명했다. 그러나 지난달 29일 북한인권법, 선거구 획정 논란 등을 놓고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본회의 개의가 진통을 겪던 도중 김 위원장이 이날 오후 630분께 진행된 더민주 의원총회에서 '원샷법과 선거구를 연계해 처리한다'는 방침을 천명하면서 본회의 개의가 무산됐다. 김종인 그의 위선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는 갈수록 더해지고 있다.


권맑은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