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주류, 비주류 총선체제 갈등

posted Nov 17,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새정치, 주류, 비주류 총선체제 갈등

 

총선이 얼마남지 않았는데 새정치민주연합은 내부에서 주류와 비주류의 총선 체제 갈등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야권 단합을 위해 현 지도체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은 주류 및 비주류가 모두 동의하고 있지만 문제는 문재인 대표의 대표직 사퇴 여부에서 갈리고 있다. 주류는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의원, 박원순 서울시장 등 문··박 연대를 통해 총선을 치르겠다는 입장이고 비주류의 대표격이며 대선주자인 안철수 의원과 박원순 서울시장을 통해 내부 단합을 꾀하고 그 힘으로 무소속 천정배 의원 등 신당 세력을 단합시키겠다는 것이다.


qjas.jpg

 

반면, 비주류는 문 대표의 사퇴 후 전 대표 등 계파 수장들이 모두 참여하는 조기 선거대책위원회 체제를 구성해 총선을 치러야 한다고 하고 있다. 주류의 방안은 문재인 대표의 퇴진을 전제하지 않기 때문에 총선을 문 대표의 얼굴로 치르게 되고, 비주류의 방안은 문 대표가 사퇴한 후 참가자의 일원이 되는 것으로 문 대표의 위상이 전혀 다르다. 문재인 대표의 사퇴 여부가 중요한 이유는 지난 김상곤 혁신위원회가 정한 국회의원 평가위원회의 평가 결과에 따라 하위 20%가 경선에서 원천 배제되는 '공천 혁신안'의 유지 여부와 맞물리기 때문이다.

 

비주류는 하위 20%의 경선 원천 배제안이 비주류 학살로 돌아올 것을 우려한다. 호남 중진이 많은 비주류의 성향 상 공천혁신안이 실현될 경우 비주류에 불리한 결과로 나타날 가능성은 적지 않다. 비주류는 이 때문에 공천혁신안을 사실상 무위로 돌리는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제기하며 의원총회까지 열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문재인 대표가 혁신위의 공천혁신안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문 대표 중심의 총선 체제가 이뤄질 경우 공천혁신안은 그대로 시행될 가능성이 크다. 주류와 비주류간 접점은 많지 않은 상태다. 주류 측은 비주류가 주장하고 있는 조기 선대위에 대해 계파 간 나눠먹기 형태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 분명해 갈등은 불가피해 보인다.


유규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