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 전셋값' 상승 주춤

posted Nov 06,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친 전셋값' 상승 주춤


치솟은 전세가격에 부담을 느낀 무주택자들이 전세계약을 주저하면서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완만한 곡선으로 둔화되고 있다. 가격 강세가 이어지던 서울 재건축 시장은 숨 고르기에 들어서며 상승폭이 미미했다. 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11월 첫 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21% 오르며 10월 2주차 이후 4주 연속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다. 전세 매물 부족으로 가격 상승세는 이어지지만 전세가격이 워낙 높다 보니 아무리 매물이 부족해도 계약에 나서길 주저하는 모습이다.

서울은 Δ동대문(0.66%) Δ중(0.56%) Δ관악(0.50%) Δ강서(0.42%) Δ구로(0.39%) Δ성북(0.34%) Δ성동(0.33%) Δ강남(0.28%) Δ마포(0.27%) 순으로 올랐다. 동대문은 대규모 단지를 중심으로 전세 매물이 귀하다. 청량리동 한신이 1500만~2500만원, 휘경동 주공1단지가 2000만원 가량 상승했다. 중구는 중림동 삼성싸이버빌리지가 2000만~5000만원, 관악은 화곡동 강서힐스테이트가 전세 매물 품귀로 500만~2500만원 올랐다.


ojdfe.jpg



신도시는 임대인들이 전세가격을 올리고 있지만 수요자들이 오른 가격에 부담을 느끼면서 전주 대비 상승폭이 줄었다. Δ일산(0.11%) Δ평촌(0.11%) Δ광교(0.11%) Δ분당(0.09%) 순으로 상승했다. 일산은 서울 접근성이 좋은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수요가 꾸준하다. 마두동 강촌1단지동아와 강촌8단지우방이 500만원씩 전셋값이 올랐다. 평촌은 범계역과 평촌역 등 역세권 인근 아파트 전셋값이 강세다. 광교는 이의동 일대 전세아파트가 귀하다. 이의동 광교웰빙타운LH해모로가 500만~1000만원 가량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Δ의왕(0.32%) Δ고양(0.12%) Δ시흥(0.12%) Δ수원(0.10%) Δ용인(0.09%) Δ인천(0.08) Δ김포(0.08%) Δ안산(0.08%) Δ의정부(0.08%) 순으로 전셋값이 상승했다.


권맑은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