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초연구 육성, “2025년까지 세계톱클래스 연구자 1000명 양성”

posted Oct 22,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부, 기초연구 육성, “2025년까지 세계톱클래스 연구자 1000명 양성

 

정부가 기초연구 패러다임을 '선진국 추격형'에서 '세계 선도형'으로 전환하기 위한 본격적인 지원에 나선다. 2025년까지 세계 톱 클래스 연구자 1000명을 양성하고, 기초연구를 통한 세계 1등 기술 10개 창출 등을 기대효과로 내세운 구체적인 방안들이 제시됐다. 정부는 이를 위해 *출연연-중소기업 주도로 '한계돌파형 소재' 개발 *대학 중심 씨앗 뿌리기 기초연구 확대 *IT기술과 소재설계기술 융합한 '웹기반 계산재료과학 플랫폼'·'소재 빅데이터' 구축 *이머징산업 선점을 위한 '길목지키기형 소재개발' 플래그십 프로젝트 추진 *지속적 혁신이 가능한 소재산업 가치사슬 완성 *출연연의 기업지원 전담 '소재개발 코디네이터' 지정 *기업의 소재 연구 시험·평가 지원 시스템 강화 *소재 표준·인증체계 선진화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2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27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기초연구·소재기술 발전방안'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초연구 SCI(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 논문 수는 지난해 기준 세계 10(51588), 네이처·사이언스·셀 등 세계 3대 저널 논문 수는 세계 18(54)로 외형적으로는 빠르게 성장했다. 하지만 짧은 기초연구로 인해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투자·지식 축적이 미약해 세계 최초·최고의 창의적인 연구성과는 부족한 한계가 있었다.

 

uhde.jpg

 

지속되는 글로벌 경기 침체와 중국의 부상 등 불안정한 대외 환경 속에서, 국민소득 3만불을 넘어 4만불 시대로 도약하고 미래 창조사회 실현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기초연구·소재기술의 체력을 튼튼하게 해 미래 핵심원천기술과 신산업을 창출하는 새로운 성장 모멘텀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정부는 우선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기반한 개인·집단 기초연구를 지원하는 '연구자 중심형' 기초연구비 비중을 현 22%에서 오는 201730%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30대 내외 젊은 선도 기초연구자 양성을 위해 매년 100명씩 선발해 1년차에는 연구실 구축비로 2~5억 원를 지원하고, 2년차 이후부턴 연구비 1~2억 원을 5년 간 지원하는 '넥스트 디케이트(Next-decade)100'과 같은 제도를 마련하기로 했다. 신진연구자 기본 연구환경 지원도 현행 3년에서 5년으로 강화된다. 나노과학기술, 응용물리 등의 분야는 최상위 연구자 중심의 개인기초·집단연구 및 선도 기초연구자와 해외 석학과의 매칭 등을 강화한다. "중상위 연구자가 최상위로, 최상위 연구자가 세계 톱클래스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는 성장 사다리를 놓겠다"고 미래부는 설명했다.

 

곤충학·전염병·해양학·지질공학 등의 취약·소외 분야에 대해서도 평생 한 분야 연구에 매진할 수 있도록 '한우물 파기 연구' 지원을 강화한다. 그밖에 국내 대기업 등이 해외연구소와 공동연구를 수행하거나 발주할 때 학·연 등 우리 기초연구 주체의 참여도 지원하는 등 기초연구 국제화 사업도 다각도로 펼칠 예정이다. 함께 보고된 소재기술 발전 방향으로는 그간 주력 기간산업이었던 소재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ugtr.jpg

 

개발 소요기간을 50% 단축하는 공정 혁신과 소재산업 생태계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인프라를 확충하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우리 소재기술은 첨단산업 성장에 결정적 역할을 해왔지만, 높은 기술력을 가진 일본과 신흥 소재강국인 중국 사이에 낀 '신 넛크래커' 위기에 직면한 데다 여전히 가격 경쟁력에 의존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소식에 노벨 과학상의 각 부분들 받아야 하지 않겠느냐?”는 국민들의 염원과 먹고살기 위한 국가경제를 위해서도 늦었지만 대통령이 신경써야 하는 잘한 일이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권맑은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