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밀의료/메르스 백신·치료제 개발 협력 추진

posted Oct 17,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정밀의료 및 메르스 백신치료제 개발 분야에서 미국과 상호 공동 협력의지를 확인하고, 이를 적극 추진하기 위해-정밀의료/메르스 연구 협력의향서(LOI, Letter of Intent)를 현지시간 1016 오전 10(한국시간 1016일 오후 11)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의향서 체결은 지난 6월에 개정한 보건복지부(MOHW)와 미국 보건후생부(HHS: Th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보건 및 의료과학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의 후속 조치로서,
  박근혜대통령 미국 순방 계기에 보건복지부 장옥주 차관을 비롯한 양국 보건의료 연구개발(R&D) 책임자 및 관련 주요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 국립보건연구원(NIH) 원장(이주실)과 미국 국립보건원(NIH) 원장(프랜시스 콜린스(Francis S. Collins))이 양측 보건의료 연구개발(R&D) 기관 대표자격으로 동 협력의향서에 서명하였다.
 
* (한국) 보건복지부 차관, 보건산업정책국장, 국립보건연구원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 국립암센터원장 등
* (미국) 국립보건원장, 국제연구부원장, 보완통합의학센터장, 알러지감염병연구소장 등
  
  이번 협력의향서 체결은 지난 9월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계기에 방한한 미국 국립보건원(NIH) 원장(콜린스)의 오송 국립보건연구원(NIH) 방문 시 개최된 한미 보건료 연구개발(R&D) 책임자급 오찬 간담회에서, 우리 측 보건복지부의 제안을 미측 국립보건원(NIH)가 수용하면서 성사되었다.
  
  양측은 동 협력의향서를 통해 ·미 공동연구 프로그램 개발 및 공동연구재원(Joint Fund) 조달 방안 모색, 연구자들의 인력교류 및 교육·연수 강화, 정기적 공동 학술행사 개최 등 지식 및 정보교환 촉진 등 연구협력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실행방안에 합의하였다.
  
  또한, 양측은 협력의향서 체결식 직후,정밀의료 분야메르스 분야전문가 주제 발표 및 토론을 통해 상호 이해를 증진시키고 구체적인 협력방안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하였다.
 
 「정밀의료 분야에 대해서는 미국 국립보건원 측에서 조세핀 브릭스(Josephine Briggs) 보완통합의학센터(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Health) 센터장이 미국의 정밀의료 추진계획,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윤건호 본부장이 창조경제 롤 모델로서의 정밀의료 한미 협력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정밀의료분야 시너지(동반 상승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양국 간 협력방안을 논의하였으며
 
 「메르스 분야에 대해서는 앤소니 파우치(Anthony Fauci) 알러지감염병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소장이 미국 국립보건원의 메스르 등 신종감염병 연구 지원 현황, 국립보건연구원 이주실 원장이 메르스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한미 협력방안발표하고, 한국이 메르스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과 자원을 활용한 연구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어, 이번 협력의향서를 바탕으로 빠른 시일 내에 양국간 실효성 있는 공동연구를 이행하도록 하기위해 한국의 보건의료 연구개발(R&D) 3 기관(NIH,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립암센터)과 미국 국립보건원(NIH)간 실무협의체(Working Group) 구축을 포함하는 협력 기본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편,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는 개인의 유전체 정보, 의료정보, 건강상태생활습관 정보(보건의료 빅데이터) 등을 연계 분석하여 맞춤형 의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새로운 보건의료 패러다임으로서 미래의 의료시장을 주도할 창조경제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 미국은 오바마 대통령이 연두 국정연설(‘15.1.30)에서 정밀의료 추진계획(Precision Medicine Initiative)을 발표, 연간 2.15억 달러(2370억원) 투자를 통해 사업 추진 중
 
* 전 세계 정밀의료 시장(유전체 맞춤의료, 스마트 헬스케어, 보건의료 빅데이터 시장) ‘20년 이후 총 95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
- 유전체 맞춤의료1): (`09) 276조원 (`20) 912조원
- 스마트 헬스케어2): (`13) 3조원 (`17) 31조원
- 보건의료 빅데이터3): (`12) 4조원 (`17) 9조원
1) PricewaterhouseCoopers 보고서(‘09),
2) ‘모바일 세계가 주목하는 미래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보고서’ (산업연구원 609, '15.06),
3) ‘빅데이터를 활용한 보건산업 신산업전망 및 정책방향’ (보건산업진흥원, '13.07)
  
  우리나라는 25만명 규모의 코호트(Cohort), 2018년까지 구축예정인 10만명의 한국인 유전체 정보,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기술 IT 인프라 높은 수준의 정밀의료 연구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금번 한-미 정밀의료 연구협력은 한국이 아시아 정밀의료 산업 주도권을 확보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미국과 함께 세계 정밀의료 시장을 선도하는 동반자적 협력 관계를 맺는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한편, 메르스 등 신종 감염병 전 세계가 적극 대응해야 하는 보건안보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시점에서  세계 최고의 연구 역량을 보유한 미국 국립보건원과 메르스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협력의 발판을 마련했다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현재 메르스 예방 백신·치료제는 주로 미국 국립보건원일부 다국적 제약회사 주도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었으나 올해 우리나라가 확보한 메르스 환자의 검체 등 연구자원 및 정보 미국 국립보건원의 첨단 기술을 접목한 공동연구를 통해 우리나라가 메르스 백신치료제 분야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보건복지부 정진엽 장관은 금번 한-미간 정밀의료/메르스 백신치료제 개발에 대한 연구 협력의향서(LOI) 체결을 통해 정밀의료와 메르스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분야에서 한국이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역량을 확보하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현지시간 1015() 1530분부터 17시까지 재미 한인 의사, 제약인 및 과학자 대표들과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재미 한인 보건의료인 대표는 미국 내 18천명의 한인 의사, 120개 제약기업 및 60개 대학 등에서 일하고 있는 879명의 한인 제약인 등 재미 한인 보건의료인 네트워크 바탕으로 한국 보건의료산업의 세계화, 미래화 정책을 적극 추진할 수 있도록 한국 정부의 관심과 지원요청하였으며
  
  아울러 국가 간 환자 이동 및 보건의료 시장의 급증에 대비하여 한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국제의료사업 지원에 관한 법률안의 조속한 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www.newssports25.com
전재표 기자 su1359m@hanmail.net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



Articles

187 188 189 190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