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재가동 시점 합의 못해…남북, 10일 재논의(종합3보)

posted Sep 03,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개성공단 1차 회의, 모두발언하는 남북대표
개성공단 1차 회의, 모두발언하는 남북대표
(서울 사진공동취재단=연합뉴스)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1차 회의가 2일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에서 열려 남측 김기웅 통일부 남북협력지구 지원단장(왼쪽)과 북측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 부총국장이 모두발언 하고 있다. 2013.9.2 photo@yna.co.kr

 

     정부, 서해 군통신선 복구 요구…공동위 첫 회의 개최

 

4일부터 분과위 협의…재가동 시점 2차회의 때 합의 가능성

 

 

(개성=연합뉴스) 공동취재단·홍제성 기자 = 남북은 2일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제1차 회의를 열어 공단 재가동 문제 등을 논의했으나 구체적인 재가동 시점은 합의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양측은 오는 10일 공동위 2차 회의를 갖고 공단 재가동 시점을 재논의하기로 했다.

 

우리 정부는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이날 회의에서 공단 재가동에 앞서 현재 단절된 상태인 서해 군(軍) 통신선의 복구, 공단의 기반시설 정비, 발전적 정상화에 대한 제도적 장치 진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북측은 조속한 공단의 재가동을 거듭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당국자는 "우리도 조속한 재가동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라면서 "그러기 위해서는 서해 군통신선이 복구가 돼야 인원 출입이 원활하고, 인프라도 정비를 해야 하며, 제도적 장치 보완도 진전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양측은 공동위 산하에 설치된 4개 분과위 협의를 2차 회의 이전까지 우선 진행해 재가동에 필요한 제도개선 및 발전적 정상화 방안 등을 협의하기로 했다.

남북은 투자보호·관리운영 분과위와 국제경쟁력 분과위 회의는 4일, 출입체류 분과위와 통행·통신·통관(3통) 분과위 회의는 5일 각각 열기로 합의했다.

 

특히 3통 분과위에서 서해 군 통신선의 재개 문제를, 출입체류 분과위에서는 제한 없는 출입 보장 문제를 논의할 계획이어서 5일 논의 결과가 주목된다.

이들 4개 분과위 협의가 원만히 이뤄질 경우 10일 2차회의 때는 개성공단 재가동 시점이 결정되거나 최소한 구체적인 윤곽을 드러낼 수 있을 전망이다.

 

우리측은 개성공단 가동 중단으로 인한 기업피해 보상 문제도 이날 제기했으며, 양측은 내주 공동위 2차 회의에서 이 문제를 계속 협의하기로 했다.

이밖에 공동위 사무처 구성 방안에는 남북 양측간 의견이 상당히 접근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측은 공동위 사무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합의서 초안을 북측에 전달했다.

 

남북은 이날 12시간에 걸쳐 2차례 전체회의와 4차례 위원장 접촉을 벌였다.

정부 당국자는 "분과위에서 어떤 논의를 할 것인지 등 협의할 세부적인 사항이 많아지고 차기 일정 협의 등도 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렸다"고 말했다.

 

우리측 공동위원장인 김기웅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은 이날 오전 전체회의 모두발언에서 "7차회담이 끝나고 공동위원회 1차회담을 한다는 것 자체가 의미가 있다"면서 "모두 다 새롭게 출발하는 기분으로 공단의 발전을 위해 같이 일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북측 공동위원장인 박철수 부총국장도 "만물이 무르익는 가을인데 1차회의에서도 좋은 절기에 맞게끔 좋은 결과를 만들어내려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김 단장은 이날 오전 회담장으로 출발하기 직전 기자들과 만나 "우리 기업인들이 마음 놓고 기업 활동을 할 수 있고 외국 기업인들도 오고 싶어하는 그런 국제 경쟁력 있는 공단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jsa@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9/02 23:29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