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물류직’ 가장 잠 못 잔다...하루 평균 수면시간 ‘5.9시간’
직장인 근로시간
(자료제공: 알바천국)
(자료제공: 알바천국)
직장인은 하루 평균 9.3시간을 근무하고 6.1시간 자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급·직군 별로도 상이한 차이가 드러나 눈길을 끈다.
취업검색엔진 잡서치(대표 최인녕 www.job.co.kr)가 취업전문포털 파인드잡(www.findjob.co.kr)과 시리즈로 기획 중인 ‘직장인 타임푸어(Time-Poor)’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693명의 야근을 포함한 일 평균 근로시간은 ‘9.3시간’, 수면시간은 평균 ‘6.1시간’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에 조사된 직장인의 하루 평균 근로시간은 통상 근로자의 법정 근로시간인 8시간보다 1.3시간 많은 것으로, 우리나라는 지난 2014년 OECD 조사 결과에서도 연 평균 2,163시간으로 가입국 중 2번째로 길게 일하는 나라로 조사된 바 있다.
성별로는 남자가 일 평균 ‘9.7시간’, 여자가 ‘9시간’으로 남성이 0.7시간 더 오래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평균 근로시간을 분포별로 보면 ‘8~10시간’이 46%로 가장 많았고, ‘10~15시간’도 26.1%에 달하며 2위에 올랐다. 이어 ‘5~8시간’(17.2%), ‘3~5시간’(4.8%), ‘15시간 이상’(3.8%), ‘3시간 미만’(2.1%) 순이었다.
직군별로는 ‘연구/개발/기획’ 직군이 9.8시간으로 가장 길게 일하는 것으로 조사됐고, ‘생산/물류’와 ‘관리/지원’이 9.4시간, ‘서비스’가 9.3시간, ‘영업마케팅’ 9시간 순이었다.
특히 연구/개발/기획 직군은 ‘10시간에서 15시간 미만’을 일한다는 비율이 36%로 가장 많았다.
또한 직급별로는 ‘과장급’이 일 평균 근로시간 9.8시간으로 가장 길게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리자급’과 ‘사원급’이 9.5시간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어 ‘대리급’이 9.3시간이었으며 ‘인턴’이 8.8시간으로 가장 짧았다.
반면 직장인들의 수면시간은 평균 ‘6.1시간’으로, 전문가들이 권장하는 하루 적정 수면시간인 7.5시간(7~8시간)에 비해 1.4시간 가량 짧은 것으로 조사됐다.
분포를 보면 ‘5~7시간’이 63.5%로 가장 많았고, ‘7~9시간’(18.7%), ‘3~5시간’(14.3%), ‘9~11시간’(2%). ‘3시간 미만’(1.2%), ‘11시간 이상’(0.3%) 순이었다.
직군별로는 ‘서비스’ (6.3시간), ‘영업/마케팅’(6.2시간), ‘연구/개발/기획’(6시간), ‘관리/지원’(6시간) 순이었고 ‘생산/물류’가 5.9시간으로 가장 수면시간이 짧았다.
직급별로는 ‘인턴’(6.3시간), ‘사원급’(6.2시간), ‘대리급’(6시간), ‘관리자급’(6시간) 순으로 수면시간이 길었으며, 과장급의 경우 5.8시간으로 제일 짧아 가장 오래 일하고 가장 적게 자는 직급인 것으로 드러났다.
취업검색엔진 잡서치(대표 최인녕 www.job.co.kr)가 취업전문포털 파인드잡(www.findjob.co.kr)과 시리즈로 기획 중인 ‘직장인 타임푸어(Time-Poor)’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693명의 야근을 포함한 일 평균 근로시간은 ‘9.3시간’, 수면시간은 평균 ‘6.1시간’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에 조사된 직장인의 하루 평균 근로시간은 통상 근로자의 법정 근로시간인 8시간보다 1.3시간 많은 것으로, 우리나라는 지난 2014년 OECD 조사 결과에서도 연 평균 2,163시간으로 가입국 중 2번째로 길게 일하는 나라로 조사된 바 있다.
성별로는 남자가 일 평균 ‘9.7시간’, 여자가 ‘9시간’으로 남성이 0.7시간 더 오래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평균 근로시간을 분포별로 보면 ‘8~10시간’이 46%로 가장 많았고, ‘10~15시간’도 26.1%에 달하며 2위에 올랐다. 이어 ‘5~8시간’(17.2%), ‘3~5시간’(4.8%), ‘15시간 이상’(3.8%), ‘3시간 미만’(2.1%) 순이었다.
직군별로는 ‘연구/개발/기획’ 직군이 9.8시간으로 가장 길게 일하는 것으로 조사됐고, ‘생산/물류’와 ‘관리/지원’이 9.4시간, ‘서비스’가 9.3시간, ‘영업마케팅’ 9시간 순이었다.
특히 연구/개발/기획 직군은 ‘10시간에서 15시간 미만’을 일한다는 비율이 36%로 가장 많았다.
또한 직급별로는 ‘과장급’이 일 평균 근로시간 9.8시간으로 가장 길게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리자급’과 ‘사원급’이 9.5시간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어 ‘대리급’이 9.3시간이었으며 ‘인턴’이 8.8시간으로 가장 짧았다.
반면 직장인들의 수면시간은 평균 ‘6.1시간’으로, 전문가들이 권장하는 하루 적정 수면시간인 7.5시간(7~8시간)에 비해 1.4시간 가량 짧은 것으로 조사됐다.
분포를 보면 ‘5~7시간’이 63.5%로 가장 많았고, ‘7~9시간’(18.7%), ‘3~5시간’(14.3%), ‘9~11시간’(2%). ‘3시간 미만’(1.2%), ‘11시간 이상’(0.3%) 순이었다.
직군별로는 ‘서비스’ (6.3시간), ‘영업/마케팅’(6.2시간), ‘연구/개발/기획’(6시간), ‘관리/지원’(6시간) 순이었고 ‘생산/물류’가 5.9시간으로 가장 수면시간이 짧았다.
직급별로는 ‘인턴’(6.3시간), ‘사원급’(6.2시간), ‘대리급’(6시간), ‘관리자급’(6시간) 순으로 수면시간이 길었으며, 과장급의 경우 5.8시간으로 제일 짧아 가장 오래 일하고 가장 적게 자는 직급인 것으로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