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A현장의 소리-③조병선 KOICA 모잠비크사무소장

posted Aug 22,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조병선 KOICA 모잠비크 사무소장
조병선 KOICA 모잠비크 사무소장
(서울=연합뉴스) 한국국제협력단(KOICA) 모잠비크 사무소의 조병선 소장(파란조끼)은 19일 연합뉴스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잠자는 아프리카 대륙을 깨우려면 교육이 필수적"이라며 교육 분야 지원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2013.8.19 << 재외동포부 기사 참조, KOICA 제공 >> photo@yna.co.kr

 

"아프리카 지역에 교육 분야 전폭 지원해야"

 

(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기자 = 동아프리카 국가 모잠비크에는 수교 20년 만에 처음으로 지난 6월 주재 대사가 부임했다.

 

2011년 말 기준으로 모잠비크에 한인은 80명에 불과하지만 자원 개발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양국의 협력관계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것을 감안한 것이다. 올해 안으로 코트라 무역관도 문을 열 예정이다.

 

이제 막 친밀한 관계를 맺기 시작한 모잠비크에 처음 들어선 정부 기관은 다름 아닌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다.

 

KOICA는 2011년 3월 모잠비크 수도 마푸토에 사무소를 열고 현재까지 112만 달러 이상의 무상원조 사업을 진행했다.

 

모잠비크 사무소의 초대 소장인 조병선 소장은 19일 연합뉴스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국제개발협력 상대국으로서 모잠비크의 비중은 앞으로 더욱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 소장은 또 "잠자는 아프리카 대륙을 깨우려면 교육이 필수적"이라며 "교육 분야, 특히 학교 건축이나 시설 지원 등의 사업은 사후 평가를 불문하고 전폭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다음은 조 소장과의 일문일답.

 

-- 모잠비크에 대한 공적개발원조(ODA)에서 가장 역점을 두는 부분은.

 

▲ 모잠비크는 포르투갈에 400년 이상 식민 지배를 받다가 1975년에 독립한 후 16년간의 내전을 겪었다. 식민지 시절 포르투갈이 4년간만 교육을 시켰기 때문에 독립 당시 국민의 90%가 문맹이었을 정도로 교육 수준이 높지 않고 산업발전 수준도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국민의 80%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데도 수출로 벌어들인 돈의 상당액을 식량을 사들이는 데 써야 하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그러나 대규모 천연자원의 발견 등에 힘입어 최근 10여 년간 경제성장률은 7%대를 유지하고 있고 향후 자원기반 경제개발이 기대된다.

 

이에 따라 코이카 모잠비크 사무소는 농업과 교육 분야에 우선순위를 두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시민의 의식 수준과 역량을 높이는 데는 무엇보다 교육이 중요하다는 점을 절감했기 때문이다. 또 농업 생산성을 높여 기초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안정적인 영양 공급을 통해 50%를 웃도는 절대빈곤을 퇴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올해 사업계획은.

▲ 사무소 개설 초기여서 사업 규모가 크지는 않다. 아직 모잠비크 정부와 협정이 체결되지 않아 봉사단도 파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중점협력 대상국인 만큼 꾸준히 새로운 사업을 발굴하고 있어 앞으로 모잠비크에 대한 지원 규모는 점점 더 커질 예정이다.

 

마톨라 지역의 직업훈련원 건립 프로젝트가 내년 초 착수될 예정이며, 올해 80여 명을 한국으로 초청해 연수를 실시할 계획이다.

 

지난 6월 모잠비크 게부자 대통령이 방한해 박근혜 대통령과 정상회담한 결과 우리나라는 모잠비크의 농촌 개발과 빈곤 퇴치를 위해 2015년부터 3년간 1천100만 달러를 들여 새마을운동 사업을 펼치기로 했다. 전력, 수자원, 가스 등의 에너지 분야에도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김영목 KOICA 이사장이 최근 모잠비크를 방문, 정부 측과 협의했다. 향후 모잠비크에 대한 우리의 국제협력 사업이 한 단계 도약할 것으로 기대된다.

 

-- 초대 사무소장이라 어려움이 많을 것 같은데.

 

▲ 사무소를 열기 위해 처음 부임했을 때 대사관도 없고 의사소통도 어려워 사무실 계약에서부터 작은 비품 구매에 이르기까지 답답한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또 높은 물가 때문에 개인적으로도 마땅한 주택을 구하기가 어려워 한동안은 제대로 발 뻗고 편히 쉬기도 힘들었다. 현지인들의 느긋한 업무 태도라든지 시간 약속을 철저히 지키지 않는 문화, 자신에게 직접적으로 이익이 되지 않으면 적극성을 보이지 않는 모습 등에 좌절할 때도 있었다.

 

그러나 그간 노력한 일들의 성과가 나타나는 것을 볼 때면 이러한 어려움도 어느새 말끔히 씻겨지곤 했다. POSCO와의 민관협력 사업으로 문을 연 마니싸 농업훈련원에서 올 1월 첫 졸업생이 배출됐다. 졸업생들이 1년 동안 열심히 배운 것들을 발표하며 각자의 마을로 돌아가 빈곤을 극복하겠다는 희망찬 포부를 밝혔을 때의 감동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 우리나라의 ODA 정책에 대해 제언한다면.

 

▲ ODA 사업은 국가의 예산, 즉 국민의 소중한 세금으로 집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코이카 해외사무소에서 수행하는 모든 사업은 사업 결과 평가를 대비해 신중히 발굴하고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현장에서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업을 종료해 수원국에 인도된 후 여러 가지 원인으로 사업의 지속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교육사업 또한 마찬가지다. 우리가 지원해 준 학교 건물, 시설·장비, 비품들이 얼마나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지 예상하기 어렵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교육을 통해 인적 자원을 개발해 세계 12대 무역대국이 되었듯이 교육 없이 아프리카라는 대륙을 깨우기는 불가능하다고 본다. 교육분야 사업, 특히 학교 건축, 시설 지원 등의 사업에 대해서는 사후평가를 불문하고 전폭 지원해야 한다는 것을 현장에서 새삼 절감했다.

 

mihy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8/19 07:3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