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석유공사 울산박물관에 시추선 ‘두성호 모형’ 기증

posted Aug 06,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석유공사 울산박물관에 시추선 ‘두성호 모형’ 기증

‘2013년 대한민국 에너지 체험전’ 산유국 홍보 위해 제작 전시

두성호, 한국 최초 ‘동해-1 가스전’ 탐사 성공

대한민국 ‘산유국’선포식 갖게 한 산유 역사 증거


[서용덕 기자/스포츠닷컴]

                                             

울산시는 한국석유공사(사장 서문규)가 대한민국 최초로 천연가스를 발견할 때 사용한 시추선, ‘두성호 모형’을 ‘울산박물관(관장 신광섭)’에 기증했다고 밝혔다.

‘두성호 모형’은 실물의 약 1/100 정도 크기(가로 750㎜ 세로 580㎜ 높이 900㎜)로 지난 2013년 <대한민국 에너지 체험전>에서 대한민국이 산유국임을 널리 홍보하기 위해 제작됐다.


울산박물관은 앞으로 산업사관에서 전시할 계획이다.

두성호는 한국석유공사가 1984년 5월 건조(대우조선해양)한 국내 유일의 반잠수식 시추선으로 말레이시아, 베트남, 러시아 등 9개국에서 119개 광구(2015년 7월 말 기준)의 시추작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시추공을 뚫을 때마다 원유와 가스를 발견한 확률이 높아 전 세계 석유·가스 기업 사이에서 ‘행운의 시추선(lucky rig)’으로 불린다.

 

두성호는 적극적인 HSEQ(Health, Safety, Environment & Quality) 활동으로 국제시추선사협회인 IADC(International Association of Drilling Contractors)의 기준에 의거 무재해 인증을 받기도 했다.


특히 두성호는 1998년 7월 대한민국 최초의 가스전인 ‘동해-1’의 탐사 시추에 성공하는 역사적 업적을 이뤄냈다.


대한민국은 이 탐사로 2000년 2월 산유국 선포식(현 동해-1 가스전)을 가졌으며 전 세계 95번째 산유국 대열에 진입하게 되었다.

 

동해-1가스전은 2004년부터 경제성이 있는 가스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두성호의 건조 비용은 1984년 당시 542억 원이며, 높이 94m, 너비 82m 규모로 작업 가능 수심은 100 ~ 1,500피트(30 ~ 450m), 최대시추심도는 2만 5,000피트(7,500m)이다.


승선 가능 인원은 112명이다. (최대적재하중 4000톤)

신광섭 울산박물관장은 “우리나라가 산유국이 될 수 있었던 시추선의 모형을 한국석유공사에서 기증해 주신데 대해 깊이 감사드린다.”면서 “앞으로 산업수도 울산을 알리는 자료로 소중하게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www.newssports25.com

서용덕 기자 smi5445@hanmail.net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