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국민 40%만 "세금 더 내더라도 복지 늘려야"

posted Aug 19,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60%는 동의 안해..51% "우리 가정 소득은 하위층"

 

보건사회연구원 대국민 복지의식 조사 결과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우리 사회에서 이른바 '증세없는 복지'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국민 10명 가운데 6명은 현재 수준보다 복지를 늘리기 위해 세금을 더 낼 생각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절반 이상은 본인 가정의 소득이 전체 사회의 중간 정도에도 못 미치는 '하위층'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19일 보건사회연구원의 '미래 보건복지 방향설정과 정책개발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16개 광역시도 만 20세이상 남녀 1천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정부의 보건복지 혜택에 "만족한다"는 평가는 18.5%(만족 16.5+매우 만족 1.9)뿐이었다.

 

"만족스럽지 않다"는 대답이 28.2%(불만 24.7+매우 불만 3.5)를 차지했고, 나머지 44.9%는 "보통"이라는 반응이었다.

 

이처럼 전반적으로 복지 정책의 만족도가 높지 않음에도, 증세를 통한 복지 확대에는 절반 이상이 소극적 태도를 보였다.

 

세금을 더 내더라도 복지수준을 높이는데 동의한 응답자는 전체의 40.0%에 그쳤다. 26.0%는 오히려 "복지수준이 낮아져도 세금을 좀 더 내려야한다"고 주장했고, 25.4%는 "현재의 세금과 복지수준이 적정하다"고 진단했다. "잘 모르겠다(8.6%)"는 반응까지 더해 국민의 60%는 '복지수준 제고-조세 부담 증가' 조합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얘기다.

 

연령별로는 30대(45.0%)와 40대(43.8%)에서 증세를 통한 복지 확대에 찬성하는 의견이 많은 반면, 60대 이상 연령층에서는 34.1%에 그쳤다. 가구 소득 기준으로는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복지를 위해 세금을 더 내겠다는 사람이 많았다.

 

같은 맥락에서 국민은 의료비 부담 경감을 정부 복지정책 가운데 2순위 과제로 꼽으면서도, 건강보험료 추가 부담에 대해서는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진료비를 낮추기 위해 건강보험료를 더 낼 의향이 있나"라는 질문에 46.1%가 "건강보험의 보장은 늘어나야 하지만 보험료는 더 낼 수 없다", 30.0%는 "현재의 보장과 보험료 수준이 적당하다"고 답했다. "보장 수준을 높이기 위해 보험료를 더 내겠다"는 의견은 19.4%에 불과했다.

 

또 국민은 전반적으로 자신 가정의 소득이 사회 속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라고 느끼고 있었다.

 

과반수인 50.5%가 소득 하위층에 속한다고 답했고, 36.9%는 중위층으로 인식했다. 스스로를 소득 상위층이라고 답한 비율은 10.5% 뿐이었다. 실제 소득이 월 400만~499만원인 가정의 20.4%, 월 500만원이상 가정의 14.1%도 "우리 가정은 하위층"이라고 정의했다.

 

이밖에 이번 조사 대상자의 32.5%는 기초노령연금을 모든 노인에게 지급할 경우 적정액으로 월 20만원을 꼽았다. 월 30만원 이상을 줘야한다는 의견도 24.1%나 됐다.

 

올해부터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만 0~5세 모든 가정에 보육료를 지원하는 정책에 대해서는 찬성(56.1%)이 반대(41.5%)보다 우세했다.

 

보건사회연구원은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보건복지정책의 초점은 경제와 복지를 선순환 구조로 전환하고, 빈곤의 악순환을 끊고 생애주기별 욕구와 위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회안전망을 강화하는데 맞춰져야 할 것"이라며 "중장기 방향 설정과 동시에 단기적 과제를 도출해 해결하는 이원화 체계로 진행돼야한다"고 조언했다.

 

shk999@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8/19 06:39 송고


  1. 서울지역 약국마다 약값 '천자만별'…최대 60% 차이

    (서울=연합뉴스) 전준상 기자 = 서울지역 약국마다 약품 가격이 최대 60% 차이나는 등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문제연구소 컨슈머리서치(대표 최현숙)가 전문의약품인 로아큐탄(여드름치료), 제니칼(비만치료) 2종, 일반의약품인 우루사, 써큐란, ...
    Date2013.08.22
    Read More
  2. 원전 정지 여파, 오늘 전력수급 빠듯할 듯

    전력경보 '관심' 발령 (서울=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 한빛 6호기 돌발정지 등의 영향으로 전력수급경보 '관심' 단계가 발령된 21일 오후 시민들이 서울 중구 태평로에 설치된 전력현황 전광판 앞을 지나고 있다. 2013.8.21 leesh@yna.co.kr 전력거래소, 관심...
    Date2013.08.22
    Read More
  3. 빚 독촉장 겉면에 '빨간색' 못쓴다

    채무자 주민번호로 국민연금·고용보험 파악 금지 장례·결혼식장서 채권 추심·근무지 위협 행위 금지 (서울=연합뉴스) 심재훈 고유선 기자 = 채권추심업자들이 빚 독촉장을 보낼 때 봉투 겉면에 빨간색 문자 사용이 금지된다. 채무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한 ...
    Date2013.08.22
    Read More
  4. 北, 朴대통령 '지하벙커' 회의 비난…"도발행위"(종합)

    박근혜 대통령이 을지연습 첫날인 지난 19일 '지하벙커'로 불리는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상황실에서 '을지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DB>> 조평통 대변인 담화 "南 대결추구하면 남북관계는 다시 악화" (서울=연합뉴스) 장용훈 기자 = 북한의 대남...
    Date2013.08.20
    Read More
  5. 국조 사실상 마무리…여야 대치정국 향배 주목

    지난 19일 국회에서 열린 국가정보원 댓글의혹 사건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 2차 청문회 <<연합뉴스DB>> 여야, 주도권 다툼 2라운드..野 원내복귀 타이밍 관심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이승우 기자 =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 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가 사...
    Date2013.08.20
    Read More
  6. 당정, 규제 철폐·금융지원 '패키지 전월세대책' 검토(종합)

    정부와 새누리당은 20일 오후 국회에서 당정협의를 하고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는 전·월세난 대책을 논의한다. 사진은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DB>> 오후 당정협의…양도세 중과 등 규제 폐지 초점 소득공제 강화·고액 대출보증 제한·제한적 가격상...
    Date2013.08.20
    Read More
  7. 한미, 을지프리덤가디언 연습 돌입

    한미 연합훈련 모습 <<연합뉴스DB>> 정부, 비상대응·사이버테러위협 대응훈련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한미연합사령부와 합동참모본부는 19일 한미 연합군사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을 시작했다. 이달 30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훈련은 한반도...
    Date2013.08.19
    Read More
  8. 국민 40%만 "세금 더 내더라도 복지 늘려야"

    60%는 동의 안해..51% "우리 가정 소득은 하위층" 보건사회연구원 대국민 복지의식 조사 결과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우리 사회에서 이른바 '증세없는 복지'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국민 10명 가운데 6명은 현재 수준보다 복지를 늘리기 위해 세금을 ...
    Date2013.08.19
    Read More
  9. 여야 '국정원 국조' 힘겨루기…'특검도입' 새 변수(종합)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이 지난 1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가정보원 댓글사건 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특위 청문회에 출석한 가운데 여야 의원들이 질문하고 있다. <<연합뉴스 DB>> 금주 국조 종료…野 "특검 필요" vs 與 "정치적...
    Date2013.08.19
    Read More
  10. 해외금융계좌 신고의무 강화…위반시 과태료 '폭탄'

    해외법인 손실거래 명세서 제출도 의무화 정부, 내년 해외소득 정보파악 강화 방안 마련 (세종 서울=연합뉴스) 유경수 최이락 기자 = 내년부터 10억원이 넘는 해외계좌를 국세청에 신고하지 않고 자금출처를 밝히지 못하면 '과태료 폭탄'을 맞게 된다. 정부는...
    Date2013.08.1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97 498 499 500 501 ... 535 Next
/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