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대통령 기록물 열람·사본 압수 작업 착수

posted Aug 17,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압수수색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압수수색
(성남=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 관계자들이 압수수색을 위해 16일 오전 경기 성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으로 들어가고 있다. 검찰은 이날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한 달 이상 매일 출퇴근 형식으로 열람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압수수색에는 대검찰청 디지털포렌식센터(DFC)가 보유한 국내에 한 대밖에 없는 디지털 자료 분석용 특수차량(버스)도 동원된다. 2013.8.16 kane@yna.co.kr

 

    검사·포렌식 요원 등 28명에 4억원짜리 분석 장비 투입

 

(서울=연합뉴스) 송진원 김동호 기자 =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검찰이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의 기록물에 대한 열람 및 이미징(복사) 작업을 16일 시작했다.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김광수 부장검사)는 이날 오전 9시 44분께 경기 성남시에 있는 대통령기록관에 도착해 법원으로부터 발부받은 영장을 제시하고 기록물 열람 및 사본 압수 작업에 들어갔다.

 

이날 압수수색에는 공안2부 한정화 부부장을 포함해 검사 6명과 디지털 포렌식 정예 요원 12명, 수사관·실무관 등 모두 28명이 투입됐다.

 

대검찰청 디지털포렌식센터(DFC)가 보유한 국내에 한 대밖에 없는 4억원짜리 디지털 자료 분석용 특수차량(버스)도 동원됐다.

 

검찰은 이 차량에서 하드디스크나 파일 등에 대한 이미징 작업을 할 예정이다. 차량 내부에는 이미징 장비 여러 대가 설치돼 있어 동시에 대량으로 작업이 가능하다. 분석 속도도 빠르다.

디지털 자료 분석용 특수차량
디지털 자료 분석용 특수차량
(성남=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가 16일 경기 성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을 압수수색하는 가운데 국내에 한대밖에 없는 디지털 자료 분석용 특수차량(버스)이 국가기록원에 주차돼 있다. 2013.8.16 kane@yna.co.kr

 

검찰의 열람 및 사본 압수 대상은 모두 5가지다.

책자나 CD, USB, 녹음파일 등 비전자기록물을 보관한 기록관 서고와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 문서관리시스템인 '이지원(e-知園)'의 백업용 사본, 봉하마을에서 보관했다가 기록관에 제출한 이지원 봉하 사본, 대통령기록물관리시스템(PAMS), 이지원에서 PAMS로 이관하는 과정에 쓰인 97개의 외장 하드 등이다.

 

청와대 비서실 기록관리시스템(RMS) 자료는 외장 하드에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대통령지정기록물의 경우 원본 열람 시 중요한 사초(史草)가 손상될 염려가 있는 만큼 대상물을 복제해 원본 대신 '열람'할 예정이다. 일반 대통령기록물은 내용물을 이미징하는 방법으로 '사본 압수'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기록관 서고에 있는 문건 자료는 바로 볼 수 있겠지만 전자기록물은 사초 훼손 가능성이 있어 이미징 작업을 해야 하는데, 그 과정에 많은 시일이 걸릴 것"이라며 "주말인 내일과 모레도 계속 작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 성남 수정구 시흥동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정문. <<연합뉴스DB>>

 

법원으로부터 야간 영장까지 발부받은 상태라 압수 작업은 밤늦게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검찰은 회의록의 고의 삭제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대통령기록관의 폐쇄회로(CC)TV 자료와 시스템 로그 기록 등도 철저하게 들여다볼 계획이다.

 

이번 압수수색은 대통령 기록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외부 유출이 엄격히 제한된 만큼 검사와 수사관들이 한 달 이상 출퇴근 형식으로 대통령기록관을 방문해 열람 및 사본 압수 작업을 벌인다.

 

검찰은 수사 뒤에 제기될 수 있는 공정성 논란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압수수색 전 과정을 CCTV로 녹화할 예정이다.

 

압수수색을 통해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참여정부의 회의록 삭제 또는 폐기 의혹에 대한 수사로 이어질 전망이다.

 

이명박 정부 때 삭제됐다는 의혹도 제기된 만큼 전 정권 인사들에 대한 소환 조사도 이뤄질 수 있다.

san@yna.co.kr

dk@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8/16 09:44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