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산업구조 개편, 한국경제 ‘직격탄’

posted Jul 24,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중국 산업구조 개편, 한국경제 직격탄

 

중국이 수출보다 내수 중심으로 산업구조를 재편하면서 최대 교역국인 한국 수출에 직격탄이 떨어졌다. 특히 반제품을 수입한 뒤 만들어 판매하는 가공무역에 대해 중국이 억제 정책을 펴면서 수십 년간 중국의 가공무역에 의지했던 우리 수출 산업이 큰 피해를 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중국의 연간 수입 증가율은 201038.9%에 달했지만 201124.9%, 20124.3%, 20136.8%, 20141.1%로 이후 꾸준히 쪼그라들더니 올해 15월에는 수입액 자체가 전년동기대비 21% 줄어들었다. 세계 금융위기가 휘몰아친 2009년 이후 처음으로 기록한 마이너스 증가율이다. 올해 15월 중국의 수입액은 6353억 달러로 이 추세가 계속된다면 13939억 달러를 기록한 2010년 상황으로 회귀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swa.jpg 

 

이 같은 현상에는 중국의 성장 전략 변화가 한몫하고 있다. 값싸고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지난 19801990년대 가공무역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중국은 2000년대 들어서자 임금 상승과 무역흑자 확대에 따른 통상압력 가중 등 문제가 불거지면서 전략 수정에 들어갔다. 수출에서 내수 중심 성장을 천명하면서 자연히 가공무역 비중도 줄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중국은 1999년 가공무역 관련 제품을 허용, 제한, 금지 등 3부류로 나눠 관리하기 시작했고 2004년에는 화학비료, 중고기계, 항생제 등 341개 가공무역 금지 품목을 발표했다. 이후 금지 품목은 20071140, 20081816, 20141871개로 10년 새 5배나 폭증했다. 실제 전체 중국의 수입에서 가공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많이 줄어드는 등 억제 정책은 상당한 효과를 봤다.

 

20052769억 달러를 기록한 중국의 가공무역 수입액은 20114707억 달러, 20124824억 달러, 20134982억 달러, 20145254억 달러로 액수는 늘어났지만 비중은 200542%, 201127%, 201226.5%, 201325.5%, 201426.8%로 급감했다. 반면 내수용 수입액은 20052796억 달러, 2011176억 달러, 20121224억 달러, 201311097억 달러, 201411095억 달러로 9년간 연평균 16.2%씩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용 수입액이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율 역시 같은 기간 42.4%에서 56.6%로 점점 커지고 있다.

 

문제는 중국의 가공무역 축소로 이 부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수출 산업이 큰 타격을 받고 있지만 중국의 가공무역에 기대는 경향이 여전하다는 점이다. 중국의 대()한국 수입 비중이 200710.9%에서 20149.7%로 작아진 데는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가운데 가공무역 비중이 지난해 51.9%를 기록하는 등 아직도 절반 이상을 이 부문에 의존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대중국 수출 품목을 중간재에서 소비재 및 완제품으로 전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전재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