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국민 94.1% “경기회복 체감 못해”

posted Jul 07,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현대경제연구원, 국민 94.1% “경기회복 체감 못해

 

현대경제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일자리 불안과 늘어나는 가계 빚으로 국민 대다수가 경기회복세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저소득층은 물론 고소득층과 자산가들도 경기가 어렵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전국 성인남녀 8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94.1%경기회복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고 7일 밝혔다. 경기회복을 체감하고 있다는 응답은 5.9%2013(8.9%) 이후 가장 낮았다.

 

sqa.jpg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소득과 소비에 영향을 미쳤는지 문의한 결과 응답자의 50.6%영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직업별로 자영업자 75%가 매출 등에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고 답해 공무원(50%), 직장인(44%) 등 다른 직업군보다 비율이 훨씬 높았다. 김동열 현대경제연구원 정책조사실장은 조사결과와 관련해 고용상황이 6개월 전보다 크게 악화됐고 이번 메르스 충격으로 자영업자들이 체감하는 피해가 더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올해 상반기 경제행복지수는 40.4점으로 전기대비 4.1p 하락했다. 이는 2012년 상반기(40.4) 이후 3년 만에 최저치다.

 

경기회복을 체감하지 못하는 원인으로는 일자리 불안(42.2%)을 가장 많이 손꼽았다. 이어 가계빚 증가(29.2%), 소득감소(22.5%) 등을 선택했다. 특히 일자리 불안의 경우 6개월 전 조사보다 11.6%포인트(p) 증가했다. 가계 소비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는 가계빚 부담(21.0%), 자녀교육비 부담(19.9%), 일자리 불안 (17.7%), 소득감소(17.1%), 노후준비 부족(16.2%), 전월세 상승(8.0%)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연령별로 20대는 일자리 불안(27.2%), 30대는 가계빚 부담(28.1%), 40대는 자녀교육비 부담(39.8%), 50대는 노후준비 부족(25.3%), 60대 이상은 소득감소(33.0%)를 소비위축의 가장 큰 장애물로 선택했다.

 

경제행복지수(EHI)는 개인의 경제적 요인과 관련된 만족도 평가지표로 경제적 안정 경제적 우위 경제적 발전 경제적 평등 경제적 불안 등 5개 평가지표를 종합해서 산출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행복도가 높다는 의미다. 연구원은 2007년 하반기부터 반기별로 조사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경제행복지수 6개 평가항목 중 경제적 평등(20.2), 경제적 불안(29)이 가장 저조했고 경제적 우위와 경제적 안정 관련 지표도 전기보다 큰폭으로 하락했다는 분석이다.

 

경제행복지수에 미래 경기회복 기대감을 더한 경제행복 예측지수2015년 하반기 57.3점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메르스 사태에 따른 소비부진과 불안감이 반영됐다는 평가다. 경제적으로 가장 불행한 그룹은 이혼 및 사별로 혼자사는, 60대 이상, 남성, 자영업자로 조사됐으며 경제적으로 가장 행복한 그룹은 ‘20, 미혼, 여성, 공무원으로 조사됐다. 소득이 높을수록 경제행복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연소득 6000~8000만원, 8000만원 이상 고소득 계층도 경제행복지수가 전분기대비 각각 2.7p, 5.1p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 실장은 최근 지속된 경기부진으로 상대적으로 고소득층까지도 경제적 여건이 어렵다는 점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자산 5~10억원이상 계층 경제행복지수는 51.2, 10억원 이상 자산가 경제행복지수도 57.7점으로 전기대비 7.6p, 17.9p 하락했다. 자산 1억원 미만(35.5), 자산 1~3억원(40.6), 자산 3~5억원(51.2) 등도 행복지수가 전분기보다 모두 떨어졌다. 시도별 행복지수는 서울이 46.3점으로 1위를 기록했고 이어 경남 44.9, 울산 44.3, 인천 43.8, 부산 42.1점 순으로 집계됐다.

 

권맑은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