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갈수록 여성화ㆍ고령화ㆍ고학력화

posted Jun 30,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비정규직 갈수록 여성화ㆍ고령화ㆍ고학력화

 

구호 외치는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
구호 외치는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
우리나라 비정규직 근로자가 점차 여성화, 고령화, 고학력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비정규직 근로자 중 여성 비중은 2007년 48.6%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높아져 올해(3월 현재)는 53.8%로, 6년 만에 5.2%포인트나 높아졌다. 사진은 전국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 대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DB>>

 

 

여성 비중 5.2%p, 고령층 비중 8.4%p 높아져

 

(서울=연합뉴스) 권혁창 기자 = 우리나라 비정규직 근로자가 점차 여성화, 고령화, 고학력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비정규직 근로자 중 여성 비중은 2007년 48.6%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높아져 올해(3월 현재)는 53.8%로, 6년 만에 5.2%포인트나 높아졌다.

 

반면 정규직에서는 여성 비중이 2007년 38.4%에서 2013년 37.7%로 낮아졌다.

자연히 비정규직 남성 비중은 2007년 51.4%에서 올해는 46.2%로 낮아졌다.

 

이는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 수가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비정규직 고용 감소가 대부분 남성에 의해 주도되면서 비정규직의 여성화가 더욱 심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비정규직 근로자 중 65세 이상 고령자 비중도 큰 폭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고령자 비중은 2007년 18.9%에서 올해는 27.3%로 8.4%포인트나 급상승했다.

 

반면 비정규직 청년 비중은 같은 기간 22.3%에서 19.4%로, 중장년층도 58.8%에서 53.3%로 각각 낮아졌다.

 

정규직의 경우 중장년층은 2007년 67.5%에서 올해 70.0% 수준까지 높아졌고, 고령자 인구 증가의 영향으로 고령층 비중도 7.0%에서 10.6%로 높아졌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에 비해 정규직 청년층 비중은 2007년 25.5%에서 매년 감소세를 나타내 올해 19.4%를 기록, 처음으로 20% 밑으로 떨어졌다.

 

학력구조로 보면 비정규직 고졸자 비중은 2007년 69.3%에서 올해 68.3%로 1%포인트 낮아진 반면, 전문대졸 비중은 같은 기간 11.0%에서 11.4%로, 0.4%포인트, 대졸 이상 학력자 비중은 19.7%에서 20.3%로 0.6%포인트 각각 높아졌다.

 

이시균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여성과 고령자층 등은 구성적 요인에 의해 여전히 비정규직에 속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 이들 취약계층에 대한 적극적 고용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faith@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6/30 05:55 송고


Articles

490 491 492 493 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