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 관료 "미국 양적완화 축소, 韓수출에 긍정적"

posted Jun 30,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美연준 관료 "미국 양적완화 축소, 韓수출에 긍정적"

 

크리스토퍼 월러 美세인트루이스 연준 부총재 인터뷰
크리스토퍼 월러 美세인트루이스 연준 부총재 인터뷰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크리스토퍼 월러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제도 부총재가 30일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월러 부총재는 "신흥국이 미국의 양적완화에 이중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3.6.30 kane@yna.co.kr

 

 

크리스토퍼 월러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준 부총재 인터뷰

 

(서울=연합뉴스) 방현덕 기자 = 미국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양적완화 축소 계획을 발표한 직후 연준에선 이에 반발한 일종의 '하극상'이 벌어졌다.

 

주인공은 제임스 블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준 총재다. 그는 21일(현지시각) 보도자료를 내고 "양적완화 축소 언급은 좀 더 신중하게 결정해야 했다"며 버냉키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시장은 당연히 놀랐다.

 

블라드 총재는 미국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19명의 위원 중 한 명이다. 지난 FOMC 회의에선 양적완화 축소에 반대표를 던졌다.

연합뉴스는 지난 28일 그의 '오른팔'로 알려진 크리스토퍼 월러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준 부총재를 만나 이들의 복심을 물었다. 그는 전날부터 서울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에서 열린 'SED(Society for Economic Dynamics) 콘퍼런스' 참석차 방한했다. SED는 세계 최대의 경제학술대회다. 아시아에서 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블라드 총재가 버냉키 의장을 비판한 이유는 뭔가.

 

▲ 버냉키 의장은 당시 자산매입 속도조절 여부가 경제여건에 달렸다고 분명히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버냉키 의장이 한번 시점을 언급하면 시장이 '연준이 날짜 중심의 정책(date-based policy)'으로 되돌아간다'고 생각할 것이라는 인식도 있었다. 블라드 총재가 버냉키 의장이 양적완화 축소 일정을 공개한 데에 반발한 것은 이 때문이다.

 

특히 현재 물가상승률은 6개월째 낮은 상태다. 연준의 목표인 2%대에 못 미쳐왔다. 이런 상황에서 축소 시점을 언급하면 인플레가 목표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안 될 수 있다고 봤다.

 

-- 실제로 버냉키의 양적완화 축소계획 발표에 시장은 매우 요동쳤다.

 

▲ 나는 사실 시장이 이렇게 과잉반응하는 것을 보고 좀 놀랐다. 우리는 여전히 자산을 사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그 속도가 다를 수 있다는 것뿐이다.

 

시장은 자산매입을 빠르게 줄이는 것으로 생각했지만, 그것은 버냉키 의장이 한 말과 다르다. 그는 전혀 출구에 대한 언급이나 암시(indication)를 하지 않았다.

 

단지, 자산매입 속도를 줄이는 것을 말했을 뿐이다.

 

-- 자산매입 축소 시점은 언제로 예상하는가.

 

▲ 연준의 경기전망이 맞는다면 자산매입은 올해 말부터 줄기 시작해 내년 여름쯤 중단될 것이다. 그러나 버냉키 의장이 당시 분명히 밝힌 것은 자산매입 축소 여부는 특정 날짜가 아니라 경제상황에 맞추겠다는 점이다.

 

기준금리 역시 실업률이 6.5% 아래로 내리기 전까지 올리지 않겠다고 했지만, 가령 물가상승률이 계속해 1%대에 머물면 실업률이 6.5% 아래여도 금리를 올리지 않을 수 있다.

 

-- 연준이 자산매입을 중지하면 세계 경제는 어떻게 변할 것으로 보나.

 

▲ 연준이 자산매입을 끝내면 이는 미국 경제가 굉장히 좋은 상태라는 뜻이다.

 

그런 면에서 세계경제 모두가 반길 것이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다. 미국 경기가 개선되고 건강해진다는 것은 결국 다른 나라에도 도움이 된다.

 

크리스토퍼 월러 美세인트루이스 연준 부총재 인터뷰
크리스토퍼 월러 美세인트루이스 연준 부총재 인터뷰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크리스토퍼 월러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제도 부총재가 30일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월러 부총재는 "신흥국이 미국의 양적완화에 이중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3.6.30 kane@yna.co.kr

 

 

-- 반면에 일부 신흥국은 미국이 신흥국에 미칠 양적완화 축소의 부작용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

▲ 흥미롭다. 신흥국들은 미국이 처음 양적완화를 시작하고 확대할 때도 불평을 하더니 이제 되돌릴 생각을 하니 또 불평을 한다. 이건 비대칭적인(asymmetric) 반응이다.

 

신흥국에게 가장 좋은 것은 미국, 유럽, 중국 등 가장 큰 3개 경제가 건강해지는 것이다. 이 국가들이 잘 안 되면 신흥국도 어려워진다. 결국, 신흥국에게 가장 좋은 것은 미국과 유럽, 중국이 경기부양책을 지속하는 것이다.

 

-- 하지만 신흥국들은 양적완화로 유입된 유동성이 급격히 빠져나갈 것을 우려한다. 신흥국으로선 어떻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나.

 

▲ 한국을 예로 들면 한국은행은 그간 엄청난 양의 외화보유액을 쌓아왔다. 만약 자본유출이 발생하면 한은은 환율이 크게 요동치지 않도록 외화보유액을 풀 수 있다. 한국은 (외화보유액이 많아) 환율 변동을 누그러뜨릴 수 있는 여력이 있다.

 

또 미국이 양적완화를 축소하면 원화 대비 달러화 가치는 절상될 것이다. 미국에선 한국 제품 가격이 훨씬 저렴해진다. 한국의 수출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자본유출이 있다는 건 미국 경제가 나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신흥국들의 수출뿐 아니라 다른 측면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 실제로 1994년에도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급격히 올리며 멕시코 등 남미국가가 자본유출로 외환위기를 맞은 사례도 있다.

 

▲ 지금은 당시와 다르다. 1990년대엔 신흥국들이 미국 달러화 외채가 많았다.

 

 그러나 지금 신흥국은 더 적은 달러화 외채를 갖고 있다. 또 아시아 중앙은행들은 15~20년간 자본유출과 환율 변동에 대비해 달러화 준비자산을 많이 쌓아놨다. 이번엔 부작용이 심각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 출구전략으로 신흥국의 금융·실물이 불안해지면 반대로 미국의 경기 회복에도 악영향이 있을 수 있지 않나. 신흥국은 세계 경제성장의 반을 차지하고 있다.

 

▲ 그런 이중부정(double negative)의 시나리오는 성립할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 (신흥국들이) 미국의 수요회복에 따른 소득증대 효과보다는 환율의 부정적인 변동에 너무 많은 초점을 두고 있다.

 

-- 미국의 출구전략과 다른 양적완화 국가들의 출구전략의 시점·강도에 어떤 질서가 필요하지 않을까. 국제적 논의가 필요하지 않나.

 

▲ 주요 중앙은행끼리는 계속해 우리가 무엇을 하는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많은 논의를 하고 있다. 얼마 전 주요 8개국(G8) 회의도 있었다.

 

문제는 성장세가 다르다는 것이다. 중국은 여전히 고속성장을 하고 있다.

 

 유럽은 제로(0%)성장 혹은 후퇴를 하고 있다. 각국의 목표도 다르다. 미국은 물가상승률과 함께 실업률을 본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주로 물가만 본다.

 

 각국이 목표에 따라 다른 정책을 갖고 있다. 그래서 하나의 의견에 공조하기는 쉽지 않다.

banghd@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6/30 12:01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