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혁신기준은 국민 눈높이에 맟춰야”
[류재복 대기자]
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5일 자신의 혁신론을 한마디로 정리했다. 김 대표는 이날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역대 혁신기구들은) 너무 큰 것만 이루려고 했지만 진짜 개혁은 국민 눈높이에 맞춰 실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지난달 당 대표 선출 수락 연설에서 "보수혁신의 아이콘이 되겠다"고 밝혔다.
혁신에 정치 생명을 걸겠다는 얘기다. 하지만 짚어야 할 대목은 많다.먼저 누가 확대 개편될 혁신기구를 총괄하느냐는 문제다.2005년 박근혜 당시 한나라당 대표는 반대를 물리치고 강성 비주류인 홍준표 의원에게 혁신위를 맡겼다.
2009년에는 당 내 소장파 원희룡 의원이 쇄신특위를 이끌고 2012년에는 박근혜 당시 대선후보가 검찰 출신인 안대희 전 대법관을 '삼고초려'해 모셔오기도 했다. 비주류나 외부 인사로 혁신위의 독자성을 부각시킨 것이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혁신'하려는 게 무엇인지 구체화하고 국민들이 납득할 만한 적임자를 앉히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혁신의 핵심 과제는 단연 '공천개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재·보선 전부터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드리겠다"며 "앞으로 전략공천은 절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김 대표는 5일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 겸 비상대책위원장이 기자간담회에서 '오픈프라이머리 제도' 도입이 불가피하다고 밝힌 데 대해 "좋은 일"이라며 화답했다.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은 선거법 개정이 필요한 만큼 여야 간 논의의 물꼬를 틀 수 있게 됐다는 이유에서다. 여의도연구원은 이미 오픈프라이머리 제도를 포함한 새로운 선거제도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당내 반발이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한 초선 의원은 "상향식 공천을 전면화하면 정치 신인들이 진출하기 어려워지는 폐해도 크다"고 말했다.혁신위의 성패는 '추진 동력을 얼마나 유지해 나가느냐'에 달려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선거 참패나 당 지지율 하락의 위기 상황에서 발족한 역대 혁신위도 성공하지 못했는데 재·보선 압승이라는 상황에서 혁신의 긴장감을 불러일으키기 어려울 수 있다는 얘기다.조진만 덕성여대 교수는 "당내 리더십이 바뀌는 전환기에는 혁신을 내걸어 자기세력을 구축하려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면서 "그러나 혁신을 정략적으로 이용하면 역풍을 맞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