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근민 제주지사 (연합뉴스 DB)
-
유족·도민들 "반목과 갈등 풀 전기 마련"…환영
(제주=연합뉴스) 홍정표 기자 = 정부는 18일 '제주 4·3희생자 추념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민간 차원에서 이뤄지던 추념일 행사가 올해부터 정부가 주관하는 위로 행사로 격상된다.
'제주 4·3희생자 추념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데 대해 희생자 유족과 도민들은 반세기 넘도록 이어져 온 제주 사회의 반목과 갈등을 풀 전기가 마련됐다며 환영했다.
도민들은 이를 계기로 오는 4월 3일 열리는 추념행사에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하길 바랐다. 또 유족에 대한 병원비 지원 등 실질적인 복지시책이 이뤄지길 바랐다.
우근민 제주지사는 "4·3 추념일 지정은 지난 2000년 4·3특별법 제정과 2003년 고 노무현 대통령의 공식 사과와 더불어 제주 4·3의 해결에 한 획을 긋는 역사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도민과 희생자, 유가족을 대신해 정부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우 지사는 "추념일 지정은 도민과 유가족 여러분이 4·3 해결에 대한 의지를 바탕으로 아픈 상처를 극복해 온 과정의 결실이며, 이제 4·3이 제주를 넘어 국가적 의제가 됐음을 의미한다"며 "오는 4월 3일에 열리는 제66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박 대통령이 참석, 희생자와 유족을 위로해 주길 간곡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우 지사는 "많은 분이 국가 배상 등 새로운 과제를 요청하고 있다"며 "앞으로 제주도와 평화재단, 유족회가 적절한 해결 방안이 뭔지 의견을 모아 연로한 4·3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문현 4·3유족회장은 "4·3으로 인해 도민 다수가 목숨을 잃고 고통을 당했으며 연좌제로 수십년을 시달렸다"며 "늦었지만 국가추념일 지정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유족회는 지난해 경우회와 화해·상생을 약속한 만큼 추념일 지정을 계기로 도민 통합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80∼90세가 된 4·3 피해자 1세대들이 마음 놓고 병원에 다닐 수 있도록 하는 등 복지문제를 우선하여 해결해주길 정부에 바랐다.
이문교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은 "국가추념일 지정은 4·3을 어둠의 역사에서 빛의 역사로 새롭게 쓰는 전환점이자 진상규명 과정에서 빚어졌던 이념의 논쟁과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결정적 실마리가 될 것"이라며 "지역사회를 넘어 우리나라 사회 곳곳에서 일어나는 갈등 요인을 해결하는 데 모범적인 사례가 되길 바란다"고 환영했다.
제주4·3특별법은 제주4·3사건을 '1947년 3월∼1948년 4월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정의했다.
4·3사건은 지난 1947년 3·1절 기념식에 참석했던 시위군중을 향해 경찰이 총을 쏴 6명의 희생자를 낸 것을 시작으로, 54년 9월 21일 제주도 경찰국장이 한라산 금족령을 해제하고 지역주민들에게 부과했던 마을 성곽 보초 임무를 폐지할 때까지 벌어진 현대사의 비극이다.
4·3사건 진행과정에서 발생한 인명피해에 대해선 최저 8천명에서 최고 8만여명으로 다양한 설이 제기되고 있다. 57년 4월 3일자 '제주신보'는 희생자를 무장대 7천893명, 경찰관 120명과 군인 89명 순직, 양민 1천3백여명 등 모두 9천402명으로 추정했다. 48년 10월 14일자 서울신문은 2만9천702명으로 보도하기도 했다.
4·3사건중앙위원회가 현재까지 신고를 받아 결정한 관련 희생자(행방불명자 포함)는 1만4천32명, 유족은 3만1천253명이다. 중앙위는 추가로 희생자 326명, 유가족 2만8천426명을 접수하여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4/03/18 12:0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