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윤승운 화백 "'맹꽁이 서당' 다시 문 열었어요"

posted Jun 18,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윤승운 화백 "'맹꽁이 서당' 다시 문 열었어요"

 

 
 

'논어'편으로 연재 재개

 

(서울=연합뉴스) 황윤정 기자 = "왜 책 이름을 論語(논어)라고 했을꼬?"라는 서당 훈장의 질문에 박첨지네 마당쇠가 기다렸다는 듯 손을 번쩍 든다.

 

 

마당쇠의 답이 가관이다.

 

"지가 말해보겠십니도. 논에서 쌀이 나걸랑요. 그것처럼 논어책으로 공부해서 풍년 들듯 큰 결실을 이루라고죠. 또 논엔 고기가 살잖아요. 그래서 논(논바닥 논)어(고기 어)"

 

공자의 언행을 기록한 '논어'를 '논바닥 고기'라고 하자 아이들이 배꼽을 잡고 웃는다.

 

윤승운(70) 화백의 역사명랑만화 '맹꽁이 서당'이 다시 문을 열었다.

 

조선시대 서당을 배경으로 훈장과 학동들의 이야기에 조선의 역사를 풀어낸 '맹꽁이 서당'은 만화잡지 '보물섬'에 1982년 창간호를 시작으로 9년간 연재되며 큰 인기를 끌었다. 2006년에는 15권의 단행본(웅진주니어 펴냄)으로 나왔다.

 

윤 화백은 올 4월부터 웅진씽크빅의 어린이잡지 '생각쟁이'에 '맹꽁이 서당' 논어편의 연재를 시작했다. 단행본을 완간한 뒤 7년 만에 다시 '맹꽁이 서당'을 여는 셈이다.

 

최근 기자와 만난 윤 화백은 "'논어'에 빠져서 허우적대고 있다"며 너털웃음을 터뜨렸다.

 

"아이들에게 '논어'를 읽히려고 '논어'를 주제로 '맹꽁이 서당' 연재를 다시 시작했는데 아이들이 책을 덮게 생겼어요. 재미없어도 아이들이 한번 봐줬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하고 있어요."

 

윤 화백은 "재미가 없어서 걱정이다"며 겸손하게 말했지만 다시 돌아온 '맹꽁이 서당'은 여전히 유쾌하고 재미있다.

 

공부하기 싫어하는 장난꾸러기 학동들을 어떻게든 공부시키려는 훈장과 이 핑계 저 핑계를 대며 공부를 안 하려는 학동들의 모습은 절로 웃음을 자아낸다.

 

서당 학생 수도 늘었다. '맹꽁이 서당'의 '감초'였던 박첨지네 하인 마당쇠와 박첨지도 어린 학동들과 함께 공부한다.

 

어려운 '논어'에서 이야기보따리를 풀어내는 윤 화백의 솜씨는 여전히 발군이다.

 

사실 '맹꽁이 서당' 논어편은 윤 화백의 숙원이었다. 쓱싹쓱싹 쉽게 그린 것 같지만, 만화 한 컷 한 컷에는 윤 화백의 노력이 배어 있다.

 

'논어'를 소재로 한 만화를 그리고 싶었던 윤 화백은 쉰 넘은 나이에 작정하고 '논어' 공부를 했다. 1990년대 성균관대 사회교육원에서 한문연구과정(2년제)을 수료한 데 이어 성균관 한림원에서 5년 과정을 마쳤다. 7년 동안 공부하면서 '논어'를 네다섯 번 뗐다. 집 책꽂이에 꽂힌 논어 관련 책만 100여 권에 이른다.

 

"막상 '논어'를 시작은 했지만 실력이 다 드러나는 것 같아 부끄럽습니다. 제 나이가 일흔인데 '종심소욕 불유구'(從心所欲 不踰矩·나이 일흔에 마음 내키는 대로 해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다)라는 공자의 말처럼 일흔이 되니 뜻했던 바('논어' 만화 집필)가 이뤄지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구요."

 

윤 화백은 "'논어'를 읽어보면 별다른 얘기가 없고 싱겁다"면서 "하지만 그 의미가 깊다"고 했다.

 

"우리는 점점 공자를 잊어버리고 있지만 공자의 학문은 2천500년 동안 시들지 않고 싱싱하게 살아있어요. 서양 사람들이 우리보다 더 열심히 공자 등 동양사상을 연구하고 있어요. 공자가 살았던 시대는 신분 사회였지만 그가 강조한 어질 인(仁)에는 민주주의 싹이 숨겨져 있어요."

 

1943년 함경북도 종성에서 태어난 윤 화백은 한국전쟁 이후 피폐하던 시절 어린이들에게 꿈과 웃음을 준 한국 명랑만화의 개척자 중 한 명이다.

 

윤 화백은 열여덟 살이던 1961년 '아리랑' 신인만화 공모전에 입선하면서 만화 인생을 시작했다. 길창덕, 신문수, 박수동, 이정문 등과 함께 1960-70년대 명랑만화 전성기를 이끌었다.

 

'꼴찌와 한심이' '두심이 표류기' '요철 발명왕' '탐험대장 떡철이' 등 내놓는 작품마다 인기를 끌었지만,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작품은 역시 '맹꽁이 서당'이다.

 

"할아버지가 역사책을 좋아하셨어요. 제 나이 스무 살 무렵 할아버지가 두꺼운 역사책을 사오셨는데 조선왕조 이야기였어요. 너무 재밌었어요. 만화로 그려봐야겠다고 맘먹었는데 이뤄진 거죠. 양평의 한 미술관에서 강의를 했는데 어린 아이들도 '맹꽁이 서당'을 읽었다고 해서 놀랐어요."

 

장난기 가득한 눈빛과 표정. 올해 칠순이 된 윤 화백은 '맹꽁이 서당' 학동들과 영락없이 닮았다.

 

"만화만 그리면 마냥 즐거웠어요. 만화를 그리려고 책상에 딱 앉으면 '올인'이 돼요. 돈은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았어요. 만화 캐릭터는 만화가의 분신이에요. '맹꽁이 서당'을 그릴 때 훈장과 학동들이 웃으면 저도 같이 웃고 얼굴을 찡그리면 저도 찡그리죠. 얼마나 좋아요. 이보다 즐거운 세상이 또 있을까요."

 

50년 넘게 만화를 그려온 윤 화백은 영감을 받은 선배 만화가로 '꺼벙이'와 '순악질 여사'로 유명한 '명랑만화의 대부' 고(故) 길창덕 화백을 꼽았다.

 

"열아홉 살 때 선생님께 만화를 어떻게 그리느냐며 편지로 물어봤어요. 근데 선생님이 답장을 보내주신 거예요. 선생님은 제게 '공자 선생님' 같은 분이에요. 바쁜 중에도 찾아가면 반갑게 맞아주시고 선생님한테 많은 영향을 받았죠."

 

지금도 '아날로그식'으로 직접 펜으로 만화를 그리는 윤 화백은 "굽은 나무가 선산을 지킨다고 하는데 제가 바로 그렇다"면서 "재주가 없지만 죽자사자하다 보니 지금까지 오게 됐다"고 겸손해했다.

yunzhe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6/18 15:27 송고


  1.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 성곽서 일요일마다 음악회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 성곽서 일요일마다 음악회> 수원화성 행궁 <<연합뉴스DB>> (수원=연합뉴스) 강창구 기자 = 수원문화재단...
    Date2013.06.18
    Read More
  2. 윤승운 화백 "'맹꽁이 서당' 다시 문 열었어요"

    윤승운 화백 "'맹꽁이 서당' 다시 문 열었어요" '논어'편으로 연재 재개 (서울=연합뉴스) 황윤정 기자 = "왜 책 이름을 論語(논어...
    Date2013.06.18
    Read More
  3. 미추홀도서관-역대 관장님들과 함께하는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최혜빈 기자/스포츠닷컴] 인천광역시 미추홀도서관(관장 김기범)은 올해로 91주년을 맞아, 6월 18일 역대 관장님들을 모시고 과...
    Date2013.06.18
    Read More
  4. 두 가지 이벤트 참여로 경품이 팡!팡! -인천시, 웹사이트 이벤트 실시

    [최혜빈 기자/스포츠닷컴] 인천시는 시 웹사이트 및 모바일 웹사이트의 이용 활성화와 시정홍보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두가지 ...
    Date2013.06.18
    Read More
  5. 연극과 함께하는 여름방학..아시테지 여름축제>

    '엘제 이야기' (사진제공: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 18-28일, 세종문화회관서 아동극 11편 선보여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
    Date2013.06.18
    Read More
  6. 새영화 이야기의 공포 '더 웹툰: 예고살인'

    (서울=연합뉴스) 임미나 기자 = 오랜만에 완성도 높은 공포영화가 나왔다. 지난 몇 년 간 한국 공포영화 장르물이 강한 음향 효...
    Date2013.06.18
    Read More
  7. 제1회 무주 산골영화제 폐막

    제1회 무주 산골영화제 폐막 (무주=연합뉴스) 이윤승 기자 = 제1회 무주 산골영화제가 4박5일의 일정을 마치고 17일 막을 내렸다...
    Date2013.06.18
    Read More
  8. 더포지션 임재욱, 6년 만에 단독 콘서트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더 포지션'(본명 임재욱)이 오는 22일 이화여자대학교 삼성홀에서 6년 만에 단독 콘서트를 개최...
    Date2013.06.18
    Read More
  9. 문화소식 장윤정 소속사, 저소득층에 공연 티켓 기부

    가수 장윤정<<연합뉴스DB>>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트로트 가수 장윤정, 박현빈 등이 소속된 인우 프로덕션은 울산사회...
    Date2013.06.18
    Read More
  10. LG전자 옵G프로, 출시 4개월만에 국내판매 100만대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LG전자[066570]의 전략 스마트폰 옵티머스G 프로가 출시 4개월만에 국내 판매 100만대를 달성했...
    Date2013.06.18
    Read More
  11. LG전자, 창이공항에 미디어조형물 '소셜트리' 설치

    싱가포르 창이공항 이용객들이 LG 47인치 IPS 디지털 사이니지 64대를 연결한 미디어 조형물 '소셜 트리'를 관람하고 있다. 47인...
    Date2013.06.18
    Read More
  12. 인터뷰- ‘웃음의 면역학’의 저자 박순옥

    [남전우 기자/스포츠닷컴] ‘웃음으로 내 몸에 있는 100명의 명의를 깨워라’ -‘암’도 치유시키는 것이 바로 명약 ‘웃음’이다- -웃...
    Date2013.06.18
    Read More
  13. 음식점 원산지표시 6월 28일부터 시행

    [최혜빈 기자/스포츠닷컴] 음식점 원산지표시 6월 28일부터 시행 음식점 원산지표시 대상품목을 기존 12개에서 16개로 늘리는 것 ...
    Date2013.06.18
    Read More
  14. No Image

    알츠하이머 치매의 새로운 치료표적 단백질 발견

    [전재표 기자/스포츠닷컴] ◇알츠하이머 치매의 새로운 치료표적 단백질 발견◇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 유발에 관여하는 단백질,...
    Date2013.06.18
    Read More
  15. 신인가수 조아진 신곡 ‘돌려라 돌려’ 유튜브 타고 인기 몰이

    [엄원지 기자/스포츠닷컴] 신인가수 조아진 신곡 ‘돌려라 돌려’ 유튜브 타고 인기 몰이 신인 트로트 가수 조아진의 신곡 ‘돌려라 ...
    Date2013.06.17
    Read More
  16. 신세경 "미도는 속물 같으면서도 순수한 인물이죠"

    신세경 "미도는 속물 같으면서도 순수한 인물이죠" 배우 신세경 (서울=연합뉴스) 유용석 기자 = 최근 종영한 MBC 드라마 '남자가 ...
    Date2013.06.17
    Read More
  17. 파주 통일동산 '남북합작 성당'의 북한작가 작품

    파주 통일동산 '남북합작 성당'의 북한작가 작품 [ 2013-06-17 14:01 송고 ] <!-- 사진구매하기 끝 <!-- 기사내용 파주 통일동산 ...
    Date2013.06.17
    Read More
  18. 도심 속 펼쳐지는 마이클잭슨 플래시몹

    도심 속 펼쳐지는 마이클잭슨 플래시몹 [ 2013-06-17 14:25 송고 ] <!-- 사진구매하기 끝 <!-- 기사내용 도심 속 펼쳐지는 마이클...
    Date2013.06.17
    Read More
  19. 현대무용 '등급'

    <공연리뷰> 현대무용 '등급' 전혁진 안무의 '등급' 중 한 장면. (사진=강일중) 사람 간의 '등급'을 풍자적으로 표현 춤·조명·음악...
    Date2013.06.17
    Read More
  20. 프랑스 지휘자 브루노 만토바니 첼리스트 문태국, 인천시향과 만나다.

    [최혜빈 기자/스포츠닷컴] 인천시립교향악단의 ‘마에스트로&라이징스타 인 인천’ 세 번째 시리즈가 6월 21일 인천종합문화예...
    Date2013.06.1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99 500 501 502 503 ... 552 Next
/ 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