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초로 GPS 장착, 실시간 황새들의 위치 추적 가능
- 일본에 이어 세계 2번째, 2015년 9월 3일 충남 예산군 광시면 황새마을 일대에서 첫 8마리 방사
(사진제공: 한국황새복원센터)
이번 황새의 방사는 2가지 기법에 의해 시행된다. 성조 6마리는 자연방사(HARD RELEASE)로 방사 케이지를 예산황새공원 습지로 이동시킨 후, 케이지의 두 개의 앞문이 열리면 황새가 야생으로 직접 비행한다. 나머지 유조 2마리는 단계적 방사기법(SOFT RELEASE)에 의해 지역 마을에서 서서히 적응시켜 야생으로 돌려보내는 방법이다. 이 단계적 방사장 시설은 작년 10월에 광시면 시목리 농경지 약 100㎡의 넓이에 12x5x2.5m의 크기의 사육장을 설치, 그곳에 황새 한 쌍을 넣고 올 3월 황새 2마리가 태어났다. 이 유조 2마리만 방사식 때 그물로 된 사육장 지붕이 거치면 서서히 야생 방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황새들이 야생으로 방사하게 되면 10월 말까지는 중부지역 중심으로 서식지를 정하게 되며, 11월 말이 되면 남쪽으로 내려가 겨울을 보낼 가능성이 크다. 겨울을 보낸 다음 이듬해 봄에 중부지역으로 다시 이동하여 첫 쌍이 나와 번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방사될 6마리는 성조로 암컷 3마리 수컷 3마리로 나이는 3살, 내년이면 충분히 번식 가능한 나이가 된다.
한반도 황새복원 기간 100년 소요
이 방사 황새들의 이동패턴은 과거 우리나라 황새들이 중부지역에서 번식, 겨울철이면 남쪽으로 내려가 겨울을 난 다음 다시 중부지역으로 이동하는 패턴을 따를 것으로 예상한다.
내년부터는 새끼와 부모 쌍을 단계적 방사만 시행하게 된다. 대략 한해에 1쌍~2쌍 정도만 새끼와 함께 자연으로 돌아간다. 이러한 방사는 향후 10년 동안 지속하며, 황새가 1900년 전후로 한반도에 약 50쌍 이상 번식했을 것으로 보고, 한반도 황새복원 기간만 적어도 약 50년~100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다.
황새복원의 성공, 황새들이 살아갈 생태계 복원이 관건
문제는 이들 황새가 살아갈 우리나라 생태계복원이다. 현재 한반도 자연생태는 이 황새들이 살아가기에는 매우 열악하다. 예산군 광시면 대리와 시목 일대 논에 방사 황새들을 위한 인공습지 약 30,000여 m2가 전부다. 물론 이 황새들은 습지 외에도 논에서도 먹이활동을 하는 새다. 그래서 이 방사 황새가 살아갈 예산군 광시면 주민들은 논에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농사를 짓고 준비해 왔다. 여전히 황새 한 쌍이 살아갈 최소 크기가 여의도 면적이고 보면, 한반도 전체 논에서 황새들이 자유롭게 살아가게 하기 위해서는 갈 길이 아직 멀다(현재 우리나 논 90% 이상에서 농약 사용 중).
방사 식전 행사로 한반도 황새보전을 위한 국제포럼 주제, 동아시아 황새 이동 루트 복원과 황새와 공존을 위한 자연문화 창조
세계 황새복원 전문가가 예산군에 모인다. 독일조류공원 국제프로그램 코디네이터 캐서린 킹(C. E. King), 중국 안후이대학교 교수 주리치(Li-Zhi Zhou)교수, 일본 효고대학교 교수 야수오 에자키(Yasuo Ezaki), 그리고 한국교원대학교 황새생태연구원장인 박시룡 교수가 참석한다.
일본은 황새복원 성공 사례와 중국과 독일은 황새의 서식현황 및 보전에 대해 발표를 한다. 한국은 한반도 야생복귀를 통한 황새의 이동과 번식 개체군 복원을 위한 국가적 전략이라는 주제를 발표할 예정이다.
주제발표 후 ‘한반도 황새보전을 위한 향후 <예산황새공원>의 컨트롤 타워 역할 및 국제 공동협력 전략’에 관해서도 자유토론이 있게 된다. 이 토론에서는 현재 교육부가 사단법인 (한국황새복원센터)에 국유지 무단 사용 변상금을 물린 것에 대한 법적 소송결과에 따라 한국교원대와 예산군 간의 황새복원사업 통합운영에 대해서도 논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국교원대학교에 소재지를 둔 사단법인은 국유지 무단 사용에 대해 행정심판 청구에 들어간 상태이며, 행정소송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소송 결과에 따라 한국교원대의 황새(91마리) 전부 혹은 일부 개체를 예산황새공원으로 이전시켜야 할 것도 신중히 검토 중이다.
사단법인 이사장을 맡는 박시룡 교수는 주제 발표에서 “사단법인은 해산시키고 예산황새공원을 공공 법인화시켜 국립예산황새공원으로 할 것”을 토론의 의제로 제시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황새복원사업 현황
황새: 천연기념물 199호, 국제적 멸종위기 1급 보호조, 우리나라 1971년 텃새 황새(충북음성)멸종
1996년 러시아로부터 황새 2마리 도입, 현재 156마리 증식, 그중 사육상태 155개체 자연상태(충북 진천) 1마리.
1997년~2007년 문화재청은 한국교원대 3대학부설 한국황새복원연구부(부장 박시룡 교 수)에게 국비와 지방비 7:3으로 해서 국고보조금 지급.
2008년 8월 한국교원대 3대학 소속 한국황새복원연구부를 ‘사단법인 한국황새복원센터’ 로 문화재청을 주무관청으로 등록하여 대외적 연구 활동을 시작함.
2012년 한국교원대학교는 학교의 조직으로 황새생태연구원(원장 박시룡 교수, 사단법인 대표이사)을 설립.
2014년 6월 한국교원대학교 내에 청람황새공원개원(황새 91개체), 6월 예산황새공원 설립 및 황새 60개체 이전, (국립생태원 5개체), 총 156개체
2015년 6월 2일 예산황새공원개원
2015년 9월 2일: 10:30~17:30 ‘한반도 황새야생복귀 국제포럼 장소 :예산문예회관
2015년 9월 3일 14:30~17:00 황새방사식 장소:예산황새공원
한국황새복원센터 소개
사단법인 한국황새복원센터는 우리나라에서 1994년 마지막으로 멸종된 황새의 복원을 위해 현재까지 사육 황새의 인공증식, 황새방사 및 황새 서식지 조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농촌 생태계 복원 및 농촌 경제 활성화 및 생태교육 자료 개발 및 교육 활동을 한다.